“올해 산불로 반려동물 1,994마리 사상…함께 피난 가능한 대피소 필요”
지난 3월 경북을 강타한 대형 산불은 동물도 위협했다. 갈 곳 없는 반려동물과 가축들이 화마에 휩싸였다. 시민단체와 정부가 동물들도 긴급 구호에...
2025.06.25
5
김포시 공공동물병원 “1년간 1,626건 진료..취약계층 아닌 일반시민 이용률 82.8%”
국내 공공동물병원 중 최초로 취약계층이 아닌 전체 시민을 대상으로 운영해 논란이 됐던 김포시 반려동물 공공진료센터가 개소 1주년을 맞이했다. 김포 공공진료센터는...
2025.06.24
3
‘안락사된 유기동물 사체, 수의학 교육 기증 허용’ 동물보호법 개정안 나와
안락사된 유기동물의 사체를 수의학 연구와 교육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법 개정안이 나왔다. 해부실습을 못하는 수의대가 있을 정도로 불안정한 카데바...
2025.06.23
20
EU, 개·고양이 내장형 동물등록 의무화·펫숍 판매 금지
유럽연합(EU)이 회원국 전역에서 개·고양이의 펫숍 진열 판매를 금지할 전망이다. 모든 개·고양이에 내장형 마이크로칩 삽입과 등록을 의무화해 추적 가능성도 개선한다. 유럽의회는...
2025.06.23
3
‘포로수용소’로 가는 은퇴 군견..은퇴견 센터 필요하다
“군견과 유기견의 차이점은 안락사를 쉽게 할 수 있냐 없냐 뿐입니다. 백 마리가 넘는 은퇴한 군견들이 견사에 모여 여생을 보내고 있는데요,...
2025.06.20
46
작년에만 5만 마리 유기동물 안락사+자연사..사체 기증 입법화 필요
유기동물 발생 수는 줄고 있는데, 유기동물 관리 비용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유기동물 관리에 투입되는 세금을 줄이면서 동물복지에도 이바지하는 방법을 찾아야...
2025.06.19
11
‘공공동물병원 이대로 괜찮은가?’ 경기도 정책토론회 27일 개최
선심성 공약과 함께 지자체 공공동물병원이 계속 늘어나는 가운데 경기도의회가 공공동물병원의 현 상황과 문제점, 나아가야 할 방향을 짚는 정책 토론회를 개최한다....
2025.06.18
1
동물병원에 맡긴 반려동물 안 찾아 가면 동물 유기행위로 처벌
동물병원에 맡긴 반려동물을 찾아가지 않을 경우 동물 유기행위로 간주하고 처벌하는 법안이 나왔다. 박덕흠 국민의힘 국회의원(사진, 충북 보은군옥천군영동군괴산군)이 관련 동물보호법 개정안을...
2025.06.18
15
일반 동물병원 중에서 공공동물병원 지정해 취약계층 반려동물 지원
성남 시립동물병원, 김포시 반려동물 공공진료센터 등 지자체가 직접 설립·운영하는 공공동물병원이 늘어나는 가운데, 일반 동물병원 중에서 공공동물병원을 지정하는 법안이 발의됐다. 동물복지국회포럼...
2025.06.18
4
전남 구제역 발생 3개월만에 방역대 모두 해제
전남 최초로 발생한 구제역이 일단락됐다. 영암군에 마지막으로 남아 있던 방역대가 6월 15일(일)자로 해제됐다. 다만 아직 NSP항체(감염항체) 양성축이 남아 있는 일부...
2025.06.17
0
“무단횡단 사고 줄어든 것처럼..농장 자율 방역의식 높아져야”
최정록 농식품부 방역정책국장이 6월 10일(화) 대전 KT인재개발원에서 열린 제30차 한국우병학회 학술대회에서 최근 발표한 중장기 가축방역 발전 대책을 직접 소개했다. 한국의...
2025.06.12
3
병원비 때문에 유기동물 발생? 실제로는 ‘보호자 책임 부족’이 1위
동물병원 진료비에 대한 부담으로 유기동물이 발생한다는 주장이 많지만, 실제 국민들은 “사육자의 책임 인식 부족 때문에 유기동물이 생긴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반려동물...
2025.06.11
3
길고양이 한 마리당 19.5만원 사용, 작년 TNR 투입 세금 260억원 돌파
길고양이 중성화수술 사업(TNR 사업) 숫자와 투입 세금이 매년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 TNR 사업에 사용된 세금은 전년 대비 14.75% 증가했다....
2025.06.11
2
중성화하면 동물등록비 할인해 주는 정책 촉구
(사)동물복지문제연구소 어웨어가 6월 10일(화) ‘2025 반려동물 양육 현황 및 양육자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어웨어가 매년 실시하고 있는 이 조사는 반려동물...
2025.06.10
6
작년에도 또! 실효성 없는 외장형 등록이 더 많았다
2024년 1년간 24만 5천여 마리의 반려견이 새롭게 동물등록을 했다. 내장형 등록비율이 계속 상승 중이지만, 여전히 실효성 없는 외장형 등록이 더...
2025.06.06
3
Loading...
파일 업로드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