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레이더로 철새이동경로 파악´ 기술 개발 필요성 지적

포획·위치추적기 부착은 한계 있어..24시간 운영되는 레이더 활용 해야


0
글자크기 설정
최대 작게
작게
보통
크게
최대 크게

H5N8형 고병원성 AI의 주요 전파원인 중 하나로 철새가 지목된 가운데, 철새 이동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기상레이더를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국회 입법조사처는 최근 2014년 국정감사 정책자료를 통해 기상레이더를 이용하는 철새이동경로 추적기술 개발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입법조사처에 따르면 현행 철새이동경로 파악 수단은 철새를 포획해 위치추적장치를 부착한 후 방사해 그 기록을 살펴보는 것이다. 또한 환경부는 매년 1월 실시하는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를 통해 우리나라에 도래하는 겨울철새의 종과 개체수를 모니터링하고 있다.

2010년부터 환경부(17종 93개체)와 농식품부(3종 76개체)가 위치추적장치를 통한 경로파악에 나서고 있다. 지난해에는 흰뺨검둥오리가 중국 저장성과 우리나라를 오간 경로를 추적하기도 했다.

하지만 위치추적장치는 주로 멸종위기종과 희귀종을 대상으로 부착되며 이번 H5N8형 AI 바이러스의 전파 매개체로 지목된 가창오리의 경우 AI가 발생하고 나서야 추적장치를 부착한 바 있다.

140812 기상레이더2
기상레이더 (사진 : 기상청)

입법조사처는 “미국과 유럽의 경우 기상레이더 혹은 전용레이더를 이용해 조류의 이동경로를 파악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전통적인 방식(포획 후 위치추적기 부착)만 이뤄지고 있다”면서 “기상레이더를 활용하여 야행성 야생조류의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지난 2011년에는 기상청이 「기상레이더를 이용한 조류이동 감시」를 주제로 관련 연구를 수행한 바 있지만, 후속연구가 이어지지 않았다.

당시 연구를 진행한 기상레이더센터 레이더분석팀은 “조류센서스는 육안관측에 의존하고 위치추적장치는 고가의 비용으로 한계가 있지만 기상청 레이더 관측망은 한반도 전역을 24시간 365일 관측하고 있어 추가 비용이 들지 않는다”면서 “미국과 유럽은 레이더를 통해 조류 종류와 개체수를 파악하기 위한 탐지 알고리즘 개발 연구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입법조사처는 기상레이더를 운영하고 있는 기상청, 국토부, 공군이 농식품부, 환경부와 협업해 레이더를 통한 이동경로 추적 기술개발에 착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기상레이더로 철새이동경로 파악´ 기술 개발 필요성 지적

Loading...
파일 업로드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