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최규 경북대 교수, `현행 방역으로는 구제역 막을 수 없다`

감염원·전파경로·감수성동물 관리 모두 문제..근절 핵심무기 ‘백신·진단법’ 개발 강조


0
글자크기 설정
최대 작게
작게
보통
크게
최대 크게
150910 fmd4
경북대학교 수의과대학 박최규 교수

박최규 경북대 수의대 교수가 국내 구제역 방역의 문제점과 근본대책을 제언했다.

한돈협회와 양돈수의사회가 마련한 ‘글로벌 구제역 현황과 대응방안’ 국제 심포지엄에 연자로 나선 박 교수는 현행 구제역 방역이 감염원 제거, 전파경로 차단, 감수성동물 제거(예방접종)에서 모두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고 꼬집었다.

감염원 제거에서는 농가의 신고부담과 부분살처분 정책 등을 문제로 지적했다.

발생농가에 보상금을 감액하고, 일부 지자체에서 매몰처리비용을 농가에 부담시키는 등으로 인해 농가가 신고를 꺼리게 됐다는 것이다. 지자체 당국도 보상금 재원 문제로 신고를 꺼리고 있다는 지적이다.

부분살처분 정책은 미증상 감염축이 농장에 남아 바이러스를 계속 배출하면서 예방접종 방어율이 낮은 돼지들에게서 지속적으로 발생한다는 문제를 낳고 있다.

또한 도축장 등 축산시설에서도 축산차량에 대한 방역 및 소독조치가 미흡한 실정이다. 소독효과를 볼 수 있는 세세한 절차가 규정되어 있지 않고, 출입시 양방향 소독절차도 거의 없다. 실제로 세척·소독을 거친 차량에서조차 구제역 바이러스가 분리된 사례가 적발되기 까지 했다.

감수성 농장이 제거되지 않는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했다. 소에 비해 돼지에서 예방약의 면역유도력이 낮은데다가, 자동주사기를 사용할 수 밖에 없는 현실에서 접종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박 교수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고려하면 구제역 상재화는 예견된 일”이라며 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책을 제안했다.

 

감염원을 조기에 파악하고 제거하기 위해서는 농가의 신고를 유도하기 위한 포상제도를 도입하고 신고를 막는 보상금 제도 등의 요인을 제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양돈장 의무 주치의 제도를 도입해 전문 수의사가 주기적으로 방문하며 발병 여부를 예찰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중앙 방역조직의 강화 필요성도 언급했다. 과장급 수의조직이 방역정책을 펼치기에 한계가 있고, 비전문가 국장급 정책결정권자가 자주 교체되며 발생 초기의 골든타임을 놓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박 교수는 ‘효과적인 백신과 신뢰할 수 있는 진단법의 개발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효과적인 백신과 진단법이라는 무기로 청정화 단계를 이룩한 돼지오제스키병과 돼지열병을 예로 들면서, 고 효능의 구제역 백신을 개발하여 국내에서 직접 생산할 수 있도록 정부가 연구 및 설비투자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교수는 “구제역은 한국에 반드시 재유입하며, 현행 방역체계로는 상재화와 재발을 막을 수 없다”면서 “예방약과 진단법이라는 전략무기 개발이 구제역 방역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박최규 경북대 교수, `현행 방역으로는 구제역 막을 수 없다`

Loading...
파일 업로드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