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2012년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제도를 시행했다. 높은 수준의 동물복지 기준에 따라 동물을 사육하는 농장에 대해 국가에서 인증하고 인증농장에서 생산되는 축산물에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마크’를 표시하는 제도다.
그간 동물복지인증 축산물의 가장 큰 장벽은 ‘가격’인 것으로 알려졌으나, 소비자 10명 중 7명은 일반 축산물 가격보다 최대 20%까지 추가 지불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 듣자, 동물복지 달걀 구매 의향 30%P 감소
농촌진흥청이 지난 2017년 동물복지 달걀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동물복지 달걀 구매 의향이 없는 이유 1위는 ‘가격이 비쌀 것 같아서(42.5%)’였다.
당시 전체 응답자 중 (가격 정보를 제시하지 않았을 때) 동물복지 달걀을 구입할 의향이 있는 응답자는 무려 92%였지만, 동물복지 달걀의 가격을 보고 나서는 62.7%로 하락했다. 30%p 가까운 소비자가 가격 때문에 구입을 포기한 것이다.
“동물복지 축산물 비싸도 구매하겠다” 59.9%
“최대 20%까지 추가 지불할 의향 있다” 67.5%
지난해 말 시행된 농림축산검역본부의 2018년 동물보호 국민의식조사에서는 조금 긍정적인 신호가 포착됐다.
가격이 일반 축산물에 비해 비싼 동물복지 축산물을 구매할 의향이 있는지에 대하여는 구매하겠다고 응답한 비율이 59.9%로 구매 의향이 없다는 응답 40.1%보다 높게 나타난 것이다.
또한, 동물복지 축산물을 살 때 어느 정도까지 추가 지불할 의사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일반 축산물보다 최대 20%까지”라는 응답이 67.5%로 가장 많았다.
가격이 비싼 동물복지 축산물을 구매하고자 하는 이유로는 “영양, 품질 등이 우수할 것 같아서”라는 응답이 49.4%로 가장 높았다.
국가가 인증한 축산물에 신뢰가 가서(27.5%), 내가 지불한 비용이 동물복지에 보탬(23.1%)이라는 응답이 그 뒤를 이었다.
반면, 동물복지 인증제도 자체에 대한 인지도는 여전히 낮았다.
전체 응답자의 단 24.2%만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제도를 알고 있었다. 국민 4명 중 3명은 여전히 제도 자체를 모르고 있는 것이다.
인증제도를 알고 있다는 응답자 중 동물복지 축산물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사람은 58.2%였다. 구매 경험이 있는 사람 10명 중 3명은 별다른 차이를 느끼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 축산물 구매 경험자에게 일반 축산물과의 차이에 관해 물었더니, “안전성이나, 위생 등 품질이 더 나았다”는 응답이 48.7%로 가장 높았지만, “별다른 차이를 못 느꼈다”는 응답도 28.5%에 달한 것이다.
동물복지에 이바지한다는 보람이 있었다는 응답은 25.3%였다.
한편,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제도는 2019년 2월 현재 산란계, 육계, 돼지, 젖소 등 총 206개 농장이 인증을 받은 상황이다.
2018년 동물보호 국민의식조사는 2018년 11월 14일부터 12월 2일까지 전국 만 20세~64세 성인 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대면 면접 조사방식으로 진행됐다(표본오차 : 95% 신뢰수준에서 허용오차 ±2.2%).
No related posts.
Copyright ⓒ DailyVet Corp. All rights reserved.
명칭 : 데일리벳 | 제호 : 데일리벳 | 등록일 : 2013년 4월 26일 | 발행일 : 2013년 4월 30일
주소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로 336 금강빌딩 1015호 | 신문사업등록번호 : 경기 아50662 | 사업자등록번호 : 123-37-34755
발행인 : 이학범 | 편집인 : 윤상준 | 이메일 : ysj@dailyvet.co.kr | 전화 : 070-8680-8999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윤상준
데일리벳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므로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
데일리벳은 인터넷신문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