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상민의 돈이 보인다⑧] 미국에 치이고, 일본에 치이고


0
글자크기 설정
최대 작게
작게
보통
크게
최대 크게

수많은 정보가 오고 가는 금융시장에서는 그 정보의 의미를 찾고, 해석을 달리하여 어떻게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한가에 논쟁이 붙곤 합니다. 최근 금융시장에서 가장 주요한 이슈중의 하나는 ‘미국의 양적완화(QE) 종료’와 ‘일본의 양적완화’입니다.

한 쪽은 돈을 풀고, 한 쪽은 중단하고, 정반대의 행보를 보이는 두 나라의 정책은 우리나라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특히, 양적완화라는 통화정책은 그 나라의 화폐의 가치를 결정하고, 돈이 흘러가는 방향을 알 수 있다는 점에서 흥미롭습니다.

양적완화_QE_Quantitative Easing

★ 돈 풀기 (QE, 양적완화)와 달러캐리트레이드(Dollar Carry-trade)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미국은 금리인하와 양적완화(QE)라는 통화정책으로 시중에 막대한 돈을 풀기 시작했습니다. 돈을 피(Blood), 조직과 장기를 경제라고 대입해보면, 조직과 장기에 피가 잘 돌지 않고 있으니(infarction), 혈류를 대폭 늘려 경제를 살리고자 했습니다.

3차에 이르는 양적완화(QE) 조치는 시중에 4조달러에 이르는 유래 없는 화폐공급을 했고, 이는 달러가치를 하락시키고, 상당기간 유지되었습니다.

금융 위기 이후 미국은 ‘제로금리’정책을 유지했고, 이는 달러를 빌려 고수익이 예상되는 자산에 투자하는 캐리트레이드가 활발해졌습니다. 시중에 돈은 넘쳐나고 금리 또한 낮으니 돈을 빌리는 것이 어려운 일이 아니었습니다.

우리나라는 지난 5년 동안 3% 정도의 금리를 유지했다라고 생각해보면, 미국사람인 제임스는 미국에서 1억에 해당하는 돈을 빌려 한국에 예금했으면, 1년 뒤엔 1억3백만원을 돌려받아, 1억을 갚아버리면 3백만원에 해당하는 공짜 수익을 올릴 수 있었던 것입니다. 이런 것을 달러캐리트레이드(Dollar Carry-trade)라고 합니다.

물론 환율변동이나 규제를 생각해보면, 그리 단순한 것은 아니지만, 실제로 캐리트레이드 자금이 신흥국가로 흘러 들어갔고, 우리나라 또한 채권이나 주식 등에 투자하는 외국자금이 매년 증가했습니다.

★ 돈 풀기 중단 (QE 종료)

지난 10월 미국은 공식적으로 QE종료를 선언했습니다. 경제활동이 완만한 속도로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양호한 고용증가세와 낮은 실업률을 보이는 등 노동시장이 개선되었다는 판단을 반영한 것입니다. 여전히 제로금리 상태는 유지되고 있습니다. 본격적인 금리인상과 돈을 거둬들이는 시기는 경제지표에 근거하여 결정할 것이라고 했지만, 시장에서는 일단 돈 풀기 중단을 일종의 달러강세의 신호탄으로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달러가치 강세

금융위기 이후 4조달러에 이르는 달러가 풀리면서, 지난 5년간 달러는 약세기조를 이어 왔습니다. 달러의 화폐가치가 떨어졌던 것입니다. 이후 미국경제가 살아났고, 경제에 대한 확신을 갖게 되자 양적완화 종료 등으로 바닥을 기었던 달러의 가치가 올라가고 있습니다. 원유, 금, 은 등의 가격이 대폭 하락 중이며, 대부분의 외국 통화 대비 달러는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풀렸던 캐리트레이드 달러가 썰물처럼 빠져나가 우리나라를 포함한 신흥국에 타격을 주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수면 위로 떠올랐습니다.

★일본이 돈을 푼다. 이번엔 엔캐리트레이드(Yen Carry-Trade)

지난 10월 일본 중앙은행은 시장에 예상보다 더 큰 수준인 연간 80조엔(700조원)에 해당하는 돈을 풀기로 결정했습니다. 일본 엔화의 가치를 떨어뜨림으로 해서 수출가격경쟁력을 확보하고 목표한 인플레이션에 도달하겠다는 것입니다. 미국의 양적완화 정책이 끝나갈 무렵, 일본은 더욱 크게 베팅하는 모양새입니다. 이에 따른 영향으로 엔화는 추가적인 약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하고, 엔화를 빌려 해외에 투자하는 엔-캐리트레이드 자금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됩니다.

 

★두 나라의 통화정책에 따른 우리나라의 영향

1. 경쟁력이 떨어지는 수출기업

하루가 머다 하고 떨어져 엔화대비 원화의 가치도 100엔당 950원 수준까지 떨어져 있습니다. 일본과 수출경쟁품목이 대다수가 겹치는 우리나라는 더욱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우려가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자동차 업체인데, 1년전에 달러로 환산한 자동차 가격의 수준이 현대 쏘나타가 1만불, 도요타 씨빅이 1만3천불 이었다면, 이제는 엔화값이 떨어지면서 두 차량의 가격이 똑같이 1만불이 된 것입니다. 그렇다면, 미국소비자 입장에서는 어떤 차를 선호할지 어느 정도는 답이 나온 셈입니다. 국내 경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IT, 자동차, 화학, 조선 등 대표적인 수출업종들이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2. 우리는 돈을 풀 수 없다

미국, 일본이 자국의 경제를 살리기 위해 돈을 풀었다면, 우리도 풀면 되지 않을까 생각하지만, 안타깝게도 우리나라 원화는 그만한 가치가 없습니다.

아프리카에 여행가서 음식을 먹고 달러를 내면 받아주지만, 원화를 내면 어처구니 없는 표정을 짓는 것과 같습니다. 기축통화라고 하는 것인데, 달러, 엔, 유로화는 기축통화로서 지위를 얻는 반면에 그 외에는 아직 힘이 약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화폐시장의 헤게모니를 장악한 기축통화의 눈치를 보면서 자리확보를 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3. 기준금리도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

미국이 양적완화 정책을 중단하고, 달러의 가치는 강세로 돌아섰습니다. 이제 모든 시선은 본격적인 ‘금리인상’시기에 맞춰져 있습니다. 일부는 미국의 금리인상에 발맞춰 우리나라도 금리를 올릴 수 밖에 없지 않겠느냐 하는 주장이 있습니다. 미국이 금리를 인상하면, 전세계로 풀렸던 자금이 미국 본토로 회수될 것이고, 급격한 자금유출을 막기 위해서는 우리나라도 올려야 한다는 논리입니다. 반면에, ‘엔저’에 대응하고, 수출기업의 경쟁력을 회복하기 위해서 오히려 금리를 내리고 경제를 진작시켜야 한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대체적으로 현재까지 시장의 반응은 후자 쪽에 쏠려 있습니다. 주요국가들의 정책과 글로벌 환경에 더해 우리나라 정부의 정책방향까지 고려해보면, 여전히 저금리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세계 경제를 흔드는 주요국들의 정책여파로 우리나라 경제와 금융투자시장이 되려 뭇매를 맞고 있습니다. 미국과 일본의 금융시장의 가파른 상승을 보면 상대적으로 허탈하지만, 현실을 인정하고 투자시야를 국내에서 해외까지 넓히면, 기회는 열려있습니다.

송상민 프로필

[송상민의 돈이 보인다⑧] 미국에 치이고, 일본에 치이고

Loading...
파일 업로드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