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견 V-clamp 수술 예후, 미국수의내과학회지에 최초 게재한 고려동물메디컬센터

2023년 9월부터 2024년 9월까지 TEER(V-clamp) 수술 받은 20마리 개 후향적 분석


31
글자크기 설정
최대 작게
작게
보통
크게
최대 크게

국내 의료진이 수의내과학 분야의 최고 권위를 갖는 미국수의내과학지(Journal of Veterinary Internal Medicine, JVIM)에 TEER 수술에 대한 후향적 분석 논문을 최초로 게재해 관심을 받고 있다.

청주고려동물메디컬센터(KAMC) 심장 혈관센터 소속 수의사들의 ‘개 이첨판 폐쇄부전증에 적용하는 최소침습수술(Transcatheter edge-to edge repair, TEER) 논문’이 최근 미국수의내과학저널에 게재된 것이다. 수술 대상 환자군 선정과 수술의 술기, 합병증과 학습곡선까지 담겨있는 미국수의내과학지 최초의 TEER 연구 논문이다.

논문은 고려동물메디컬센터 심장판막센터 이정민, 엽경아 수의사가 공동 1저자로 참여했고, 이외에도 이선태, 이아라, 정윤서 수의사 등이 함께했다(Retrospective Evaluation of Transcatheter Edge-To-Edge Mitral Valve Repair in Dogs With Myxomatous Mitral Valve Disease).

일명 ‘V-Clamp’ 수술로 알려진 TEER 수술은 흉강을 오픈하고 심장을 노출시켜 V-clamp 기구를 삽입 장착, 이첨판막을 성형하는 하이브리드수술이다(외과 수술+중재 시술). 지난 2023년부터 국내에서 시행되기 시작했다.

이첨판 폐쇄부전증(점액종성 승모판막 질환, MMVD)은 개에서 가장 흔한 후천성 심장질환으로, 전체 개 심장병의 70% 이상을 차지한다. 심장의 구조 변화를 유발하고 궁극적으로 심부전으로 진행된다. 과거에는 주로 약물로 관리했으나, 최근에는 국내에서도 개심술과 TEER 등 수술적 접근이 활발히 시도되고 있고, 많은 환자에게 임상적 이점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수의학 분야에서 TEER 수술에 관한 객관적인 연구 결과는 제한적이었다.

고려동물메디컬센터는 이번 연구에서 2023년 9월부터 2024년 9월까지 TEER 수술을 받은 개 20마리를 분석했다. 나이는 8~14살 사이였으며, 체중은 2.05kg부터 7.8kg까지였다. MMVD는 B2, C, D 단계였다.

의료진은 TEER 수술을 받은 개에서 수술 전과 수술 후 3개월에 걸쳐 이첨판 역류량, 심장크기, 처방 약물 등의 변화, 합병증, 사망원인 등을 자세히 분석했다.

논문에 따르면, TEER 수술 이후 3개월 차에 이첨판 역류량(Regurgitant volume)이 3.96ml/kg→1.25ml/kg까지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좌심방 대동맥 비율(LA/Ao), 체표면적 보정 좌심실 이완기 내경(LVIDDn) 등 좌심의 용적 과부하를 의미하는 지표들도 유의미하게 개선됐다.

의료진은 “사람에서 마이트라클립 시술(TEER)은 80세 이상의 고령, 심각한 수준의 병발질환 등으로 개심수술 고위험군이라고 판단되는 환자에게 추천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TEER 수술을 받은 20마리의 반려견 중 90% 이상이 만성신부전, 부신피질기능항진증(쿠싱증후군), 만성 상부호흡기 폐쇄질환, 만성장병증, 만성췌장염 등의 병발질환을 가지고 있었고, 한 마리가 3~4개의 병발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많았다”며 다양한 병발질환이 있는 이첨판 폐쇄부전증 개에서 TEER 수술이 하나의 선택지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TEER 수술을 받은 20마리 환자의 위험요소와 장점을 분석한 수술 전 평가표
경식도 심장초음파(TEE) 및 3D 재구성 영상으로 본 TEER 수술의 순서. (A) An apex puncture was made with a guide wire. (B) Following the guidewire, a 14-Fr sheath dilator set was inserted into the left ventricle. (C) The sheath was advanced into the left atrium with careful maneuvering. (D) The V-clamp was deployed, starting with the front clamp in the left atrium, followed by the rear clamp. (E) The position of the clamp was adjusted to ensure centering and proper alignment with the mitral valve. (F–G) Alignment of the clamp was confirmed using 2D and 4D echocardiography, ensuring it was perpendicular to the valve. (H) The clamp was hard closed after a soft closure check. (I–J) After measuring captured lengths of leaflets and mitral pressure, the clamp was released.
수술 중 클램프 장착 전, 후의 이첨판 역류 정도를 평가한 경식도 심장초음파(TEE). 클램프 장착 후 역류량이 두드러지게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 2D TEE images prior to clamping; (B) 2D TEE images post-clamping; (C) 3D TEE images prior to clamping; (D) 3D TEE images post-clamping.
 
시술 전 및 시술 후 3개월 동안의 방사선 및 심장초음파 검사상 주요 수치 변화. TEER 시술 전후 심장의 크기 및 이첨판 역류량이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이 확인된다. 표준화된 모니터링 프로토콜 부족, 다른 초음파 장비 사용 등에 따라, 생존한 환자 중 일부 개체의 수치 평가는 제외됐다.

TEER 팀에서 수술을 맡고 있는 엽경아 수의사는 “병원에 방문하는 심장병 환자들이 오직 심장병만 가지고 있는 경우는 거의 없다”며 “병발질환이 있는 심장병 환자를 살리고, 더 나은 삶의 질로 더 오래 가족들과 함께 지낼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무엇이 가장 환자에게 유리할지 고민하게 된다”고 말했다.

이어 “그 고민은 최대한 많은 ‘증거’를 가지고, 여러 분야의 수의사가 함께 고민해야 가장 좋은 선택을 할 수 있다”며 “TEER도 그러한 선택 중 하나다. 벼랑 끝에서 찾아온 환자를 내과, 외과, 영상의학과, 중환자과 수의사가 한마음으로 애써서 살려내면 정말 행복하다”고 전했다.

실제 고려동물메디컬센터는 시간에 상관없이 환자의 전원을 수용하고, 상황에 따라 투석과 초여과 등의 응급처치도 시행하며, 가능하면 TEER 수술을 진행해 좋은 예후를 보이는 경우가 늘고 있다고 한다. 또한, “다량의 이뇨제를 사용하면서 신부전이 온 환자에서 TEER 수술 후 신장 손상 관련 수치들의 개선이 관찰되는 경우가 매우 많다”고 덧붙였다.

이번 논문의 특징은 사망 케이스와 사망원인, 그리고 학습곡선(learning curve)에 관한 내용도 자세히 담겨있다는 점이다.

의료진은 “고령의 병발질환이 있는 우리나라 소형견 환자와 미국이나 유럽 환자의 TEER 수술의 위험요소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우리가 겪은 학습곡선에 관한 내용도 반드시 보고하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논문에 따르면, 20마리의 환자 중 7마리가 술후 9일 이내에 사망했는데, 수술 성공률이 초기 10마리(50%)와 후기 10마리(80%)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이번 논문은 2024년 9월까지의 TEER 수술 케이스를 분석한 것이다. 이후 경험이 더 쌓이면서 2025년 현재 고려동물메디컬센터의 TEER 수술 이후 퇴원까지 수술 안정성은 100%, 30일간의 생존율은 90% 이상까지 상승했다고 한다.

TEER팀 내과 이정민 수의사는 “이첨판 폐쇄부전증의 관리에서 환자에게 약물적 관리가 더 적절한지, 또는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하는지를 정확히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를 판단하는데 경식도초음파를 통한 3D 심장 재구성이 크게 도움이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경식도 심장초음파를 활용한 정밀한 심장 구조 및 역류량 평가를 통해, 이첨판 폐쇄부전증 환자에게 보다 명확하고 적극적인 맞춤형 처방이 가능해졌다”고 덧붙였다.

이정민 수의사는 또한 “TEER 수술을 할 때 내과, 외과, 영상의학과, 마취과, 중환자응급의학과 간의 긴밀한 협진이 치료 결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한편, 2023년부터 TEER(V-clamp) 수술을 시행한 고려동물메디컬센터는 현재 유럽 및 아시아 지역에서 최소침습 방식의 TEER 수술을 가장 활발히 시행하는 동물병원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 국내는 물론 미국, 중국, 스위스, 프랑스 등 다양한 국가에서 환자들이 수술을 위해 내원하고 상담을 의뢰하고 있다. TEER 관련 교육을 제공하는 국제 교육기관의 역할도 수행하고 있는데, 실제로 여러 해외 수의사가 수술을 견학하고자 병원을 방문하고 있으며, 환자에 대한 자문 요청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고려동물메디컬센터는 “점점 더 많은 환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글로벌 심장전문센터로 성장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반려견 V-clamp 수술 예후, 미국수의내과학회지에 최초 게재한 고려동물메디컬센터

Loading...
파일 업로드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