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동물복지국민의식조사

국내 반려견 499만 마리·반려묘 277만 마리…반려동물 양육비율은 28.6%
국내 반려동물 양육 가구 비율은 2024년 기준 28.6%였다. 반려견 수는 약 499만 마리, 반려묘 수는 277만 마리로 추정됐다. 정부가 최근...
2025.03.11
3
동물복지축산물 구매 이유는 ‘영양·품질 우수’, 미구매 이유는 ‘비싸서’
국민 3명 중 2명은 동물복지인증 축산물 구입 경험이 있었다. 미구입 이유 1위는 ‘비싸서’였다. 농림축산식품부의 2024년 동물복지 국민의식조사 결과다. 2024년 동물복지에...
2025.03.07
1
국민 절반 이상 “꼭 필요한 동물실험만 수행된다고 생각”
국민들은 동물대체시험법 개발 노력이 필요하다는데 대부분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동물실험 관리감독 체계에 대한 신뢰도는 낮았다. 하지만, 꼭 필요한 동물실험만...
2025.03.07
1
“반려동물 키울 계획” 응답 단 5%..유기동물은 나이 많아서 입양 싫어해
향후 반려동물 양육을 고려하는 국민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동물 입양을 꺼리는 이유 1위는 ‘연령’이었다. 농림축산식품부의 2024년 동물복지 국민의식조사 결과다. 2024년...
2025.02.28
0
[위클리벳 439회] 반려동물 양육비율 역대 최대, 정말?
농식품부가 매년 국민 5천명을 대상으로 ‘동물복지 국민의식조사’를 시행합니다. 최근 2024년 동물복지 국민의식조사 결과가 발표됐습니다. 다만, 양육비율을 공개하지 않았습니다. 구체적인 반려동물...
2025.02.22
0
반려견 양육자 87% 펫티켓 지킨다는데, 미양육자는 동의 안 해
2개월령 이상의 반려견(등록대상동물)을 양육하는 보호자는 동물등록, 외출 시 목줄·리드줄 등 안전장치 착용, 인식표 착용, 배설물 수거 등 기본적인 펫티켓을 지켜야...
2025.02.18
0
동물복지 예산 및 인력, ‘많다’고 생각하는 국민 늘었다
동물보호법에 대한 인지도가 점점 높아지고, 국민 상당수가 동물복지 요소가 강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가운데, 오히려 동물보호·복지 예산과 전담 인력이 많다고 생각하는...
2025.02.11
2
반려동물 양육포기 이유는 ‘행동문제’..일부는 신종펫샵에 소유권 이전
반려동물 보호자 중 약 17%는 반려동물 양육을 포기하거나 파양을 고려한 경험이 있었다. 심지어, 그중 일부는 신종펫샵에 파양비를 지급하고 동물을 넘겼거나...
2025.02.03
1
국민 80% ‘내장형 동물등록 일원화 찬성’, 미등록 이유 1위는 ‘필요성 못 느껴서’
정부가 여러 가지 핑계를 대며 외장형 등록방법(외장형 태그)을 여전히 허용하고 있는 가운데, 국민 대부분이 동물등록방법의 내장칩 의무화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5.01.29
0
반려동물 월평균 병원비는 5만원..국민 절반 이상은 ‘진료비 공시제’ 몰라
반려동물 한 마리당 월평균 양육비용이 14.23만원으로 나타났다. 전년(12.66만원)보다 1.57만원 증가했으나 2년 전(2022년, 15.38만원)보다는 여전히 낮은 수치다. 월평균 양육비 중 병원비는...
2025.01.24
0
대통령 권한대행 주재 회의에서 ‘반려동물 진료기록 공개 의무화 추진’
대통령 권한대행 주재 회의에서 공유된 ‘규제개선 방안’에 ‘반려동물 진료기록 공개 의무화’가 담겼다. 기한은 올해 하반기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2025.01.23
2
펫숍 분양 비율 3년째 증가…반려동물 평균 입양 비용은 51.2만원
반려동물 입양경로 1위는 여전히 ‘아는 사람(지인)’이었다. 유기동물 입양 비율(지자체 동물보호센터 입양+민간동물보호시설(사설보호소) 입양)이 전년 대비 증가했으나 동시에 펫숍에서 구입했다는 응답자도 3년째...
2025.01.22
2
2024년 국내 반려동물 양육 비율 약 28.6%…역대 최고
지난해 기준 국내 반려동물 양육인구 비율이 약 28.6%인 것으로 분석됐다. 농림축산식품부의 2024년 동물복지 국민의식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추정한 수치다. 2024년 동물복지에...
2025.01.22
0
Loading...
파일 업로드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