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계·지자체·생산자 요구에도 정부 “고병원성AI 백신정책 고려 안 해”

2021 축산포럼 '가축방역, 새로운 길을 찾자' 주제로 개최


0
글자크기 설정
최대 작게
작게
보통
크게
최대 크게

김태흠·위성곤·이원택·이만희 국회의원 주최, 한국농어민신문 주관 2021 축산포럼이 3일(수) 오후 개최됐다.

‘가축방역, 새로운 길을 찾자’를 주제로 열린 이 날 포럼에서는 고병원성AI와 아프리카돼지열병 방역에 대한 논의가 주로 이뤄졌다.

학계·지자체·생산자단체 입 모아 “고병원성AI 백신 정책 필요”

농식품부 “백신정책 검토하고 있지 않아…방역수칙 준수가 최우선”

이날 포럼에 참석한 관계자들은 대부분 ‘고병원성 AI 백신 정책 시도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주제발표를 한 윤종웅 한국가금수의사회장은 “우리나라에서 개발한 백신도 있고, 항원뱅크도 구축되어 있을 뿐 아니라, 검역본부에서 발표한 논문에도 백신 효과가 크다고 되어 있다”며 백신을 왜 사용하지 않는지 반문했다.

윤 회장은 상황과 특성을 고려해 우선접종 순위를 정하고 백신접종과 살처분정책을 병행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예를 들어, 경기도는 백신접종을 하고 다른 지역은 살처분 정책을 펴는 식이다.

윤종웅 회장은 “살처분정책과 백신정책의 장단점을 파악하고 잘 디자인하는 게 정부의 역할”이라며 고병원성AI 백신을 시범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권혁준 서울대 수의대 교수 역시 백신정책으로 근절한 ‘뉴캣슬병’을 예로 들면서 “이제 기술과 백신이 상당 부분 준비가 되어있다. 농식품부에서 고병원성AI에 백신접종 정책에 대한 결단을 내려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백신을 접종했을 때 바이러스 변이와 인체감염을 걱정하는데, 너무 두려워하지 않았으면 좋겠다”며 “백신에 대한 확신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지자체의 생각도 비슷했다.

김종훈 경기도 동물방역위생과장은 “백신만이 능사는 아니”라면서도 “그동안 죽이는 방역이었는데, 이제는 살리는 방역을 하고 싶다. 산란계, 종계에 대한 백신접종에 찬성하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꾸준히 백신정책 추진을 요구했던 양계협회의 목소리도 컸다.

안두영 대한양계협회 채란위원장은 “오늘 포럼의 주제가 새로운 길을 찾자”라며 “전문가들도 동의하는데, 농가를 힘들게 하지 말고 심각하게 백신접종 정책을 고민해달라”고 전했다.

하지만, 중앙정부의 생각은 단호했다.

이동식 농식품부 방역정책과장은 “종합적으로 판단해서 백신정책을 하기 어렵고 검토하고 있지도 않다”며 양해를 구했다.

이동식 과장에 따르면, 농식품부는 1)실효성 2)위험성 3)선진국 사례를 종합해서 현 단계에서 백신접종을 고려하지 않고 있었다.

실효성에 대해서는 AI 바이러스의 종류가 다양하고 변이가 많기 때문에, 유용한 백신을 적기에 공급하기 어렵다고 판단했고, 여러 축종에 감염되는 만큼 특정 종에만 백신접종 하는 것에 대한 의문도 내비쳤다.

위험성에 대해서는 상재화와 무증상감염 및 변이 가능성을 꼽았다. 질병관리청 역시 인체감염을 우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선진국 사례의 경우, 미국, 일본, 영국, 네덜란드 등이 백신정책을 하지 않는 걸 언급했다. 선진국도 득보다 실이 크기 때문에 고병원성AI 백신 접종을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동식 과장은 “기본 방역수칙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겠다”며 “농가와 함께 노력해서 올해 고병원성AI 발생을 최소화하고 확산 방지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토론회 좌장을 맡은 조호성 전북대 교수(대한수의사회 재난형동물감염병특별위원장)는 “백신은 투자 대비 방어효율에 대한 보증이 있어야 하므로 (정부가) 신중한 것 같다”며 “백신정책 시행 시기에 대한 합의와 점검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한편, 이날 포럼에서는 박선일 강원대 수의대 교수가 정부의 ASF(아프리카돼지열병) 방역정책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박선일 교수는 정부의 클린존 설정, 멧돼지 수색반의 비전문적 활동 등을 예로 들며 “선제적 예찰, 과학적 방역을 한다고 얘기하는 게 답답하다”고 토로했다.

학계·지자체·생산자 요구에도 정부 “고병원성AI 백신정책 고려 안 해”

Loading...
파일 업로드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