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한국적 현실에서 과연 수의학의 꽃은 임상인가? 허주형 한국동물병원협회장


0
글자크기 설정
최대 작게
작게
보통
크게
최대 크게
Juhyung Hur PhD
허주형 한국동물병원협회 회장

한국적 현실에서 과연 수의학의 꽃은 임상인가? – 한국동물병원협회 회장 허주형

수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대학원 석·박사 과정을 마친 뒤 외국유학을 다녀오고도 밤 늦도록 진행되는 세미나와 일요일 없이 열리는 학회에 참여하고, 많은 의료기기 장비들로 채워진 동물병원을 보면서 과연 왜 내가 이런 힘든 과정을 하였는지 후회스러울 때가 더욱 많다.

더구나 수의사의 동물 진료권이 보장받지 못하는 우리나라에서 툭하면 임상수의사의 당연한 권리를 국가이익의 목적으로, 축산업의 목적으로, 교육의 목적으로, 기타 우리와 상반되는 직능단체의 이익을 목적으로, 동물의 건강과 안전 그리고 국민 보건건강은 도외시한 채 무참히 짓밟혀 온 현실을, 나는 임상 25년을 겪으면서 무수히 보아왔다.

때로는 분노하고, 때로는 하릴없는 돌팔매질을 하면서도 하나의 나약한 임상수의사의 모습으로 돌아서는 나의 모습을 볼 때 마다 임상수의사로서 심한 자괴감에 빠질 때도 많았다. 혹자가 나에게 수의사의 자리를 자식들에게 대물림 할 것이냐고 물어봤을 때 나는 한국적 현실에서 이 참담한 수의학적 미래를 또 다시 자식에게 넘길 수는 없다고 답한 적이 있다.

그럼 우리나라에서 도대체 무엇이 ‘수의학의 꽃이라고 하는 임상’에 종사하고 있는 나를 이렇게 절망하게 하는 것인가?

첫째로 정부다.

현재 수의사법은 전혀 작금의 수의학의 의료기술과 동물보호자의 의식을 담아내고 있지 못하고 있다. 아직도 축산시대의 수의사법이 통용되고 있으며, 축산업자 뿐만 아니라 일반국민들에게도 무한대의 자가 진료를 허용하고 있다. 이는 오늘날 구제역, AI 등의 만연과 동물학대 및 항생제 남용으로 인해 국민보건건강을 위험하게 할 지경에 이르렀다.

또한, 지난해에 일어난 ‘약국에서의 동물등록허용 추진 및 철회’와 같은 해프닝처럼 틈만 나면 임상수의사의 역할이 무시당하고 있다.

정부조직에서도 수의사라는 전문가를 무시하고 행정직 등 다른 직종을 책임자로 배치해 놓았으며, 이는 마치 세월호와 같은 컨트롤타워 없는 방역 대책을 야기하였고, 그 결과 작금의 악성 동물 질병의 만연으로 이어졌다. 정부는 동물 진료권은 임상수의사에게, 동물의 방역권은 전문수의사에게 돌려주어야만 어처구니 없는 이런 동물 질병 대란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로 학교다.

현재 한국적 현실에서 인구 수, 동물 수 대비 배출되는 수의사 수는 가히 숨 막힐 지경이다.

현재 학교는 이에 대한 대책이 전무하다. 오히려 학교에서는 학생 수의 증가나 수의과대학 증설을 더 큰 문제라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수의학의 꽃이라고 불리는 임상현실에서 학교를 통해 배출되는 신생수의사는 하루하루의 수입을 걱정하는 허울 좋은 전문인에 불과하다. 따라서 학교는 임상수의사의 현재 위치에 대한 심각한 고민과 연구를 하여 대처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현재 한국의 임상수의사는 전 세계로 임상강의를 나가는 등 학교에서 걱정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실력과 수준이 높아지고 있다. 오히려 학교에서 유능한 임상의를 교수로 채용하여 학생들에게 질 좋은 임상교육을 받게 하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다.

세 번째로 협회다.

물론 수의 관련 단체에서 제일 많이 발전되고 진화한 것이 수의사회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많은 부분에서 임상수의사의 염원을 담아내지 못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나도 인천광역시수의사회장직을 역임하고, 현재 한국동물병원협회장직을 맡고 있지만 수의사회의 한계와 재정, 회원들의 결속력 등에서 문제점을 안고 있다.

임상의들은 수의사회에 바라는 것이 많으면서도 타 직군에 비해 적은 회비를 현실화하는 것에 반대하고, 회비 자진납부에도 소극적이다. 이는 수의사회의 재정을 외부에 의존하게 만들어 결국에는 수의사의 목소리보다는 외부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게 만든다. 아마도 수의권의 완전한 쟁취는 수의사회비의 현실화와 완납이 되었을 때 가능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수의사회도 전체 수의사의 의견을 직접 전달할 수 있도록 회장직선제 또는 직선제에 가까운 간선제의 도입 등에 문을 열 필요가 있다.

끝으로 우리와 상반되는 단체들이다.

이들 단체는 일단 동물의 복지, 국민의 건강 등은 뒷전이다. 무조건 자기들 배만 불리고 보자는 식이다. 불행히도 이들 단체의 힘이 우리들보다 훨씬 높은 곳에 있다. 과거 자가 진료에서부터 현재 수의사 처방제의 예외 조항 등에 이르기 까지 많은 법적 문제를 교묘히 이용하고 국민의 눈과 귀를 속여 가며 아주 천천히 우리의 권익과 동물의 복지, 국민의 보건 건강을 짓밟아오고 있다.

하지만 현재 수의사법에 의해서는 아무런 제재를 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며, 그냥 눈 뜨고 동물이 학대되는 현장과 국민의 보건 건강이 위협받는 상황을 지켜봐야하는 것은 우리 임상수의사들에게 심한 자괴감을 불러일으킨다.

그러나 언제까지 비관에 빠져 있을 수는 없다. 삶이 있는 한 희망은 있다는 말처럼 수 많은 학회장에서 반짝이는 임상수의사의 눈빛에서, 밤 늦도록 공부하는 임상수의사의 눈빛에서, 또한 혼자서 저항할 수 없는 1인병원의 원장으로서 수의사회나 동물병원협회에 바라는 간절한 눈빛에서 나는 희망을 찾는다.

나는 그런 눈빛들의 염원을 기억할 것이다.

구제역과 AI 현장에서 말없이 죽어가는 수많은 동물들의 눈빛들도 나뿐만 아니라 우리 임상수의사 모두가 기억할 것이다.

진정 우리나라 대한민국에서 수의학의 꽃이 임상이라고 이야기할 수 있는 그날이 오면 동물의 학대의 현장에서, 구제역과 AI 등 많은 동물 전염병의 현장에서 말 없이 죽음을 기다리는 그 눈빛들이 봄날 한반도 전역에 피어오르는 진달래꽃처럼 필 것이라는 것을 우리 임상수의사들은 기억할 것이다.

150108-juhyung hur-profile

[기고] 한국적 현실에서 과연 수의학의 꽃은 임상인가? 허주형 한국동물병원협회장

Loading...
파일 업로드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