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에는 위장관을 중심으로 고양이의 초음파 스캔에서 중요한 요점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1. 정상 해부학(그림 11 )
해부학적으로 고양이의 위는 간의 뒤쪽인 복부의 좌측에 존재합니다. 유문부와 십이지장의 앞굴곡 부위는 간의 문(hilum)의 뒤쪽과 문맥의 복측에 있습니다. 이 앞 십이지장의 굴곡부위는 후방에서 폐쇄된 각을 형성하며, 중간에서 우측 간엽의 후복부의 표면에 위치합니다.
개와 달리 고양이에서 하행십이지장은 복벽의 중앙에서 발견되며, 우측 복벽과 접촉하지 않습니다. 이 앞 십이지장은 간 후엽의 미상엽의 복측과 우측 신장까지 달리며, 이후 내측으로 후 십이지장 굴곡을 형성합니다. 이곳에서부터 공장이 되며, 공장과 근위 회장은 복부를 통해 따라갑니다. 말단의 회장은 일반적으로 복부의 우측에서 발견되며, 회맹연접부로 연결됩니다. 여기에서 회장은 결장으로 변하게 됩니다. 맹장은 작고 분획화되어 있지 않으며, 가스 성분이 없습니다. 맹장과 상행결장은 하행십이지장의 내측에 존재합니다. 맹장을 지나 상행결장은 앞쪽으로 달리며, 짧은 구획은 복강의 우측으로 달립니다.

1. 위의 분문, 2. 위 밑바닥, 3. 유문부, 4. 하행 십이지장, 5. 공장, 6. 회맹 연접부, 7. 결장, 8. 하행결장
2. 위장관의 초음파 영상
초음파로 위장관을 검사할 때 고양이가 12시간 동안 금식한 상태면 좋으며, 물은 자유급식해도 됩니다. 초음파 프로브는 고주파수(약 11~15MHz)의 선형 프로브가 위장관을 더욱 자세히 검사하는 데 좋습니다. 완전한 검사는 장축상과 단축상의 영상을 통해서 이루어집니다.
검사에 앞서 고양이 위장관의 분절 두께를 알아보면, 아래 표11과 같습니다.

고양이의 위장관은 5개의 층으로 이루어졌으며, 각 장의 그림은 아래와 같습니다.
초음파학적으로 위장관은 5개의 층(layer)으로 되어 있습니다. 가장 내측에 음식물이 지나는 점막계면, 그리고 점막층, 점막하층, 근육층과 장막층으로 되어 있고, 점막층과 근육층은 저에코성(hypoechoic)으로 보이며, 나머지 층들은 고에코성(hyperechoic)으로 보입니다.

(a) 내강에 소량의 가스가 있는 위저부의 횡단면.
(b) 내강 내 점막 패턴을 보이는 여러 공장 분절의 종단면.
(c) 회장결장 접합부 부근 회장의 종단면.
(d) 내강에 대변이 있는 하행결장의 종단면.
고양이의 위는 비어있을 때, 단축상은 마치 ‘수레바퀴’ 모양으로 보이는 것이 특징적입니다. 위의 장축이 척추와 평행해서 마치 “J” 모양으로 방사선(VD view)으로 나타납니다2.

회장이 가장 두꺼운 벽을 가졌다고 하나 다른 주장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두께는 비슷하며, 결장이 가장 얇은 두께를 보입니다.




3. 위장관의 초음파 이상 소견4
1) 위장관 벽 비후(GI Wall Thickening):
염증성 질환은 종종 경미한 미만성 벽 비후와 함께 정상적인 층(layer) 구조를 보입니다. 정상 초음파 검사로 염증성 질환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종괴 병변(mass lesions)은 국소적이고 중등도에서 현저한 벽 비후와 관련되며, 층상 구조의 부분적 또는 완전한 소실은 종양(neoplasia)을 의미합니다. 심한 염증도 드물게 층상 구조 소실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미만성 근육층 비후(diffuse selective thickening of the muscularis)는 염증성 장질환(IBD) 또는 저등급(소세포) 림프종(low-grade (small-cell) lymphoma)을 강력히 시사합니다. 림프종(lymphoma)도 IBD보다 더 흔하게 보고됩니다. 또한 근육층 비후는 평활근 비대(smooth muscle hypertrophy) 또는 비만세포종(mast cell tumors), 히스토플라스마증(histoplasmosis), 호산구성 섬유화 위염(eosinophilic fibrosing gastritis)과 같은 다른 질환과도 관련될 수 있습니다.

2) 종괴(Masses):
림프종(lymphoma)은 가장 흔한 고양이 위장관 종양으로 하나 이상의 종괴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호산구성 경화성 섬유증식증(feline gastrointestinal eosinophilic sclerosing fibroplasia, FGESF)은 위장관 종괴의 감별진단 해야 하는 중요한 질환입니다. 초음파 소견이 종양과 유사할 수 있습니다. FGESF 병변은 종양과 달리 일반적으로 더 ‘딱딱하고 거친(hard and gritty)’ 느낌으로 보입니다.
선종성 용종(adenomatous polyp)은 양성 장종괴로, 유문십이지장 접합부(pyloroduodenal junction)에서 작은 고에코성 균일 결절(echogenic homogeneous nodule)로 나타날 수 있으며 장관 내강으로 돌출됩니다. 용종(polyp)은 종종 내용물과 쉽게 혼동될 수 있습니다.
3) 이물(Foreign Bodies):
고양이에서는 재봉틀용 실, 치실, 끈과 같은 선형 이물(linear foreign bodies)이 비교적 흔합니다. 선형이물이 있을 경우, 장이 주름져(plication) 있는 소견과 주름진 장의 내강을 통과하는 얇고 고에코성의 선형 물질이 보입니다. 선형 이물은 보통 부분 폐색만 유발하므로 동반되는 장 확장이 거의 없습니다.

비선형 이물(non-linear foreign bodies)은 일반적으로 장관 내강에 강한 에코성 계면과 깨끗한 후방 그림자(clean distal acoustic shadowing)를 가진 구조물로 보이며, 이물 원위부의 장은 빠르게 정상 직경으로 돌아갑니다.

방사선 검사에서 명확하지 않거나 의심스러운 경우, 선형 이물은 보통 초음파로 확진할 수 있습니다. 고양이의 경우, 씨앗이나 뼈와 같은 금속성 이물은 방사선으로 확인이 쉽지만, 치실이나 끈과 같은 선형 이물 또는 형태가 불분명한 이물은 방사선만으로는 진단이 어려워 복부초음파 검사가 필수적입니다. 초음파를 통해 이물의 위치와 장 폐색 유무를 파악해야 합니다. 만약 이물로 인해 장 천공(파열)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이 보이면 즉시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4) 장중첩 (Intussusception):
초음파 소견은 개와 일치하며, 횡단면에서 affected intestinal segment는 원형의 ‘표적(target-like)’ 또는 ‘황소 눈(bull’s eye)‘ 모양을 나타냅니다.

5) 장 주름 (Intestinal Corrugation):
장벽이 규칙적이고 대칭적인 물결 모양으로 보이며, 장막(serosa)은 곧은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비특이적인 변화로 장염, 췌장염, 복막염, 종양, 장벽 허혈과 관련될 수 있습니다.

6) 점막 섬유화(Mucosal Fibrosis):
점막하층과 평행하는 고에코성 점막 밴드(hyperechoic mucosal band)가 보고되었습니다. 이는 점막 섬유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임상적 의의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7) 림프절 비대 및 주변 지방 변화:
확대된 저에코성 림프절(enlarged hypoechoic lymph node)과 고에코성 반응성 지방(hyperechoic reactive fat)은 염증성 장질환이나 종양과 관련될 수 있습니다.
8) 맹장벽 층상 구조 소실:
맹장벽의 층상 구조 소실은 일반적으로 종양과 관련이 깊지만, 고양이에서는 typhlitis(맹장염)를 시사할 수 있으며 반드시 종양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9) 장관운동(Peristalsis):
정상적으로 분당 1~3회의 연동운동이 관찰됩니다.
참고문헌:
1. Torroja RN, Mino ED, Gerlach YE, Pereira YM, Restrepo MT: Diagnostic ultrasound in cats. Servet. 2015. pp. 97-120.
2. Sally Griffin: Feline abdominal ultrasonography: what’s normal? what’s abnormal? Journal of feline medicine and surgery. 21:1039-1046. 2019.
3. Marsilio S. : Differentiat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from alimentary lymphoma in cats: Does it matter? Veterinary Clinics of North America: Small Animal Practice. 51(1):93-109. 2021.
4. Sally Griffin: Feline abdominal ultrasonography: what’s normal? what’s abnormal? The diseased gastrointestinal tract. Journal of feline medicine and surgery. 21:1047-1060. 2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