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토착화는 아닌데..’ 아프리카돼지열병 위기단계 심각 유지

겨울에도 사육돼지 ASF 발생 이어져


0
글자크기 설정
최대 작게
작게
보통
크게
최대 크게

방역당국이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위기경보단계를 최고단계인 심각으로 계속 유지할 전망이다. ASF 양성 멧돼지 발생지역이 늘어난 것을 두고서는 ‘아직 토착화됐다고 평가하기 이르다’고 선을 그었다.

농림축산식품부가 국내 아프리카돼지열병(ASF)에 방역관리를 연중으로 강화하겠다고 29일 밝혔다.

봄·가을 위주로 발생하던 사육돼지 ASF가 올들어 겨울에도 발생이 이어지고 있는데 따른 조치다. 실제로 방역관리 강화 대책을 발표한 지 하루 만인 30일에 경기도 포천 돼지농장에서 추가 발생이 이어졌다.

안용덕 농식품부 방역정책국장

토착화는 아니고, 위기단계는 유지

광역울타리 ‘시간 벌기’ 효과 자평

백신 개발 전에는 멧돼지 ASF 근절 어렵다

이날 브리핑에서 ‘ASF가 국내에 토착화된 것 아니냐’는 지적에 안용덕 농식품부 방역정책국장은 “토착화됐다고 평가하기에는 좀 이른 것 같다”고 답했다.

아직 양돈농장에서의 발생이 경기북부와 강원 지역에 국한되어 있다는 점을 지목하면서다.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ASF 위기단계 하향 조정에 대해서는 “현재 상태로 하향 조정하는 것은 조금 이르다. 심각 단계를 유지해야 한다”고 잘라 말했다.

야생멧돼지 개체수 저감, 감염 멧돼지 및 폐사체 수색 등 관련 대책은 속도 저감책이라는 점도 지목됐다.

남형용 환경부 야생동물질병관리팀장은 “폐사체 수색으로 오염원을 신속히 제거하고, 멧돼지 포획으로 밀도를 줄여줌으로써 바이러스 확산 속도를 줄이는 일을 하고 있다”며 “멧돼지 먹이 백신이 상용화되어야 완벽히 차단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광견병 미끼백신처럼 야생동물을 대상으로 살포할 수 있는 형태의 ASF 백신이 개발되기 전에는 멧돼지 ASF 근절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2019년부터 2022년까지 2,800km에 걸쳐 설치한 광역 울타리에 대해서는 “양돈농가들이 방역시설을 설치하고 방역대책을 실천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었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자료 : 농림축산식품부)

연중 방역관리로 전환

상시예찰 확대..타액 활용 등 기준 개선

한돈협회·돼지수의사회 참여 전문가협의회 운영

2019년 9월 국내에서 처음으로 발생한 ASF는 3년반 동안 양돈농장 34개소에서 산발적으로 발생했다.

야생멧돼지 사이에서는 광범위하게 확산됐다. 경기·강원·충북·경북의 35개 시군에서 2,982건이 검출됐다.

방역당국은 “그간 멧돼지 활동이 증가하는 봄·가을철에 집중됐지만 최근 겨울철에도 ASF가 발생하고 있다”며 “연중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계절별로 세부적인 방역관리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봄에는 영농활동과 멧돼지 개체수 증가에 따른 오염원의 농장 유입 차단을 위해 방역취약농가를 점검한다. 여름에는 장마·태풍으로 인한 오염원 유입 방지, 겨울에는 한판에 대비한 소독장비 동파 방지에 초점을 맞춘다.

경기북주·강원지역, 양돈밀집 단지 등 발생우려 지역에는 상시예찰을 확대한다. 발생우려지역에 대한 상시예찰 분량은 지난해 14만4천건에서 올해 20만여건으로 늘린다.

혈액 시료 외에도 타액 등 검출 가능성도 있으면서 채취가 쉬운 시료를 활용할 수 있도록 기준을 개선할 방침이다.

충북·경북으로 확산 중인 ASF 양성 멧돼지의 남하·서진을 차단하기 위해 멧돼지 수색·포획도 강화한다. 올해 들어서도 경북 예천·영덕과 충북 음성까지 멧돼지 발생지역이 확대됐다.

민관학 협업도 확대한다. 정부·학계·한돈협회·농협과 돼지수의사회 등이 참여하는 전문가협의회를 구성해 ASF 발생동향을 분석하고 방역관리방안 및 제도개선을 매월 논의할 계획이다.

안용덕 방역정책국장은 “1년 중 언제라도 ASF가 발생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 모두가 방역에 힘을 모아야 한다. ASF 방역관리 강화방안을 차질없이 운용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아직 토착화는 아닌데..’ 아프리카돼지열병 위기단계 심각 유지

Loading...
파일 업로드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