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인간의 동물에 대한 착취는 언제까지 용인되어져야 하는가? <下> – 박종무


0
글자크기 설정
최대 작게
작게
보통
크게
최대 크게

<상>편에 이어..

공장식 축산의 현실을 알고서도 고기를 먹을 수 있을까? 

대학에서 수의학을 전공할 때 닭들은 부리를 잘라서 우리에 넣어야 하고 돼지들은 태어났을 때 꼬리를 잘라야 한다고 배웠다. 그 이유는 닭의 부리를 자르지 않으면 다른 닭들을 쪼아서 파먹고, 또 돼지꼬리를 자르지 않으면 다른 돼지가 장난삼아 꼬리를 잘라먹는다고 했다. 그런 내용을 배우며 닭이나 돼지는 정말로 잔인한 동물이라고 생각을 했다. 어떻게 자기와 같은 우리에 살고 있는 동족을 심심풀이로 잡아먹을 수 있는가 말이다. 하지만 아주 뒤늦게 동물과 생명에 관심을 갖고 수의학 전공책이 아닌 다른 책들을 보면서 그것이 전부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닭이든 돼지든 모든 생명은 자신이 거주할 최소한의 공간이 필요하다. 그런데 그러한 공간이 제공되지 않으면 스트레스를 받는다. 그 공간이 협소하면 협소할수록 스트레스의 강도는 증가된다. 닭이나 돼지에게도 각자가 편하게 살 수 있는 넓이가 있다.

산란계
산란계 케이지

그런데 사람들이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이윤을 얻기 위하여 ‘밧데리 새장’이라 불리는 5~6층으로 쌓아올린 비좁은 닭장에 4~5마리씩의 닭을 가두어 키운다. 그러니 닭들은 옴싹달싹 못하고 서로에게 끼여서 산다. 심한 경우 누워 있는 한 마리 위에 다른 닭들이 밟고 올라가서 압사시키기도 한다. 그렇게 스트레스가 가중되기 때문에 신경질적이 되고 다른 닭을 쪼는 것이다. 결국 그런 문제가 발생하는 것은 닭의 문제가 아니라 인간의 이윤에 대한 탐욕이 원인인 것이다.

하지만 내가 배울 당시 대학의 수의학 과정에서는 그런 내용이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사람들은 여전히 소나 돼지 그리고 닭이 디즈니만화 영화에서 나오는 한가로운 전원의 목장에서 키워질 것이라고 상상한다. 그것이 이미지 홍보의 힘이다. 하지만 실제의 농장은 ‘관계자 외 출입금지’라는 푯말에 막혀서 일반인의 접근은 불가능하다.

10만 마리 정도가 사육되는 밧데리 닭장에는 햇빛이 들어가지 않는다. 그곳에 사는 닭들은 살아있는 동안 한번도 햇빛을 보지 못한다. 쌓여진 닭장에서 배설되는 닭똥은 켜켜이 쌓이고 그 똥에서는 암모니아가 발생한다. 처음 닭장을 들어가는 사람은 그 지독한 냄새와 따가워지는 눈으로 인하여 오래 있을 수도 없다. 대학 졸업 후 다녀본 양계장에서 닭들을 보며 닭들은 그런 환경에 적응해서 아무 문제가 없는 줄 알았다. 하지만 닭들도 그런 환경에서 엄청난 스트레스를 받는다. 닭도 기계가 아닌 생명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스트레스를 받고 호흡기질병이 다발하기 때문에 일상적으로 성장촉진제라는 명목의 항생제를 사료에 첨가하여 먹인다.

스톨
대부분 스톨에 갇혀 사육되는 모돈

암퇘지들은 최대의 출산율을 위해서 관리된다. 반복되는 임신과 출산은 어미돼지의 건강을 해친다. 하지만 축산업자는 돼지의 건강은 관심 밖이다. 최단 기간에 최대의 이윤을 뽑아내고 이익률이 떨어지면 바로 도축시켜버린다.

가축의 복지가 축산업자에게 이익을 가져다 주기 때문에 요즘에는 축산업자들도 가축의 사육환경에 많은 투자를 한다고 홍보하지만 사실은 여전히 가축의 이익과 축산업자의 이익은 대립한다.

지속되는 스트레스로 암퇘지들의 신경은 날카로워져 있다. 그래서 새끼를 죽일 수 있기 때문에 암퇘지들은 몸이 꽉 끼는 쇠우리에 갇혀 출산을 하고 새끼에게 젖을 먹인다. 이 쇠우리에서는 몸을 돌리는 것은 둘째 치고 머리를 돌릴 수도 없다. 자기 몸도 꼼짝할 수 없기 때문에 새끼를 돌보는 것은 상상도 하지 못하는 일이다. 어느 생명이나 새끼를 돌보려는 어미의 마음은 똑같다. 하지만 인간이 만든 축산시스템에는 그런 배려는 남아 있을 여지가 없다. 사람이 몸도 돌릴 수 없는 독방에 갇혀 있다는 상상을 해보면 어떨까? 아마도 질식할 것 같은 갑갑함과 극심한 정신적 압박감에 시달릴 것이다. 돼지 또한 그러한 스트레스에 시달린다.

쇠우리에 갇힌 돼지는 구속에서 벗어나려 난폭하게 저항하지면 몇 시간 지나지 않아서 포기하게 된다. 그리고 오랫동안 누워서 꼼짝 않고 있거나, 가로대 밑으로 주둥이를 밀어내고 낑낑거리는 소리를 낸다. 또는 쇠우리를 갉아대거나 씹을 것이 없으면 씹는 시늉이라도 한다. 이것이 모두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는 표현이다. 

이외에도 인간의 육식을 위해 사육되는 동물들은 최대의 이윤을 얻기 위하여 최소의 비용을 들인 열악한 환경에서 사육되어지고 있다. 자신의 육식의 즐거움을 위하여 다른 생명이 고통 받는 것을 어떤 말로 외면할 수 있을까? 만약 자신의 입의 즐거움을 위하여 다른 생명이 고통 받는 것은 상관없다고 한다면 자신의 이익을 위하여 다른 존재들을 착취하는 자들에 대하여 무엇이라고 항변할 수 있을 것인가? 세상은 원래 강한 자가 약한 자를 착취하는 것이라고 말할 것인가? 

무창자돈사
극도로 높은 밀도로 사육되는 비육돈.

육식은 인류에게 유익한 것일까? 

매년 미국에서만 1억 마리가 넘는 소, 돼지, 그리고 양이 도축된다. 가금의 경우는 50억 마리가 넘게 도축된다. 이 가축들에게 먹이기 위한 대두를 재배하기 위해서 1998년에 1만 6,838평방킬로미터의 아마존 밀림이 파괴되었으며 이 면적은 벨기에 국토면적의 절반 정도에 해당된다. 

가축 사육장에서 소고기 1칼로리를 얻기 위해서는 화석 연료 33칼로리가 소모된다. 또 1파운드의 쇠고기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양의 밀에 사용되는 물의 50배가 필요하다. 그리고 1파운드의 동물 단백질을 생산하기 위해 송아지가 먹는 단백질은 무려 21파운드이다. 만약 미국인들이 1년에 10%만 고기 소비를 줄인다면 최소한 6,000만 인구를 먹여 살릴 수 있는 1,200만 톤의 곡식이 인간을 위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육식을 반대하는 이야기가 나오면 사람들은 먹는 것을 선택하는 문제는 개인의 자유에 해당하는 영역이므로 간섭해서는 안 된다고 이야기 한다. 하지만 사람들의 지나친 육식으로 인하여 아마존이 파괴되고 과다한 화석연료가 소모되어 온난화를 가중시키는 등 직접적인 환경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육식을 하는 자는 자신의 개인적인 행위가 아마존을 파괴하거나 지구환경을 파괴하는 것과 연관이 될 거라고 생각하지 못할 것이다. 하지만 그러한 개인들의 행위들이 모여서 결과적으로는 아마존을 파괴하고 지구환경을 파괴하고 있다. 이런 환경파괴 행위를 어떻게 할 것인가? 환경문제는 나를 포함한 지구의 모든 생명과 관련된 문제이다. 그런데 그런 문제를 모른 척 하라는 것인가? 

그리고 영양전문가는 고기의 필요성과 관련해 더 이상 토론을 벌이지 않는다. 이제 그들은 고기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라는 데 동의하고 있다. 아직도 고기 없이 살 수는 없지 않는가라고 의심을 품는 자가 있다면 그의 의심은 무지에 기인한다. 또 육식을 즐기는 사람이 고혈압이나 당뇨병 등의 성인병 발병 비율이 높다. 그에 반해 채식주의자들이 더 건강하게 산다는 많은 연구결과도 있다. 

전 지구적인 환경문제을 야기하고 국민건강을 해치는데 그런 과도한 육식의 문제를 이윤에 눈먼 축산업자들과 그들의 홍보와 식탐에 빠져 과다한 육식의 늪에 빠진 사람들의 개인적인 선택에 방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일인가 심각하게 고민해봐야 할 것이다. 

130530공장식축산1
지난 5월 30일 녹색당과 동물보호시민단체 ‘카라’가 공장식 축산에 반대하는 헌법소원심판청구서를 제출했다

동물을 포함한 모든 생명이 더불어 사는 세상이 올 수 있을까? 

피터싱어를 비롯한 동물해방을 위해 노력한 이들 덕분에 동물의 복지는 조금씩 개선되고 있다. 이탈리아의 패션 체인점인 베네통(Benetton)은 동물을 사용한 새로운 화장품류 안전 실험을 더 이상 시행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또 아본(Avon), 메리케이(Mary Kay), 암웨이(Amway), 크리스챤 디오르(Christian Dior) 등도 모든 동물실험을 종결한다고 선언했다. 1981년 스위스에서는 10년에 걸쳐 밧데리 새장을 없애기로 했다. 네델란드에서는 1994년부터 밧데리 세상이 불법이 되었다. 그리고 닭들에게는 둥지를 만들 장소와 땅을 긁어 팔 수 있는 장소가 주어졌다. 1989년 12월 영국의 일류 백화점인 House of Frazer에서는 60개이 모피 상점 중 59개의 상점이 문을 닫았다. 

동물에 대한 인식은 예전에 비하여 조금씩 개선되고 있다고 하지만 그것은 여전히 그들의 이익과 인간의 이익이 큰 충돌이 없을 때에만 고려의 대상이 된다. 만약 동물의 이익이 단순한 식도락적 이유일지라도 인간의 이익과 충돌이 된다면 인간 아닌 존재들은 고려의 대상에서 제외되며 그들의 이익은 무시된다. 

130423_animallaw_senator
지난 4월 23일 ‘동물보호법 개정을 위한 국회토론회’에 참석한 문정림, 심상정, 진선미, 한명숙 국회의원.

우리나라에서 동물의 복지에 대한 인식은 어떨까?

우리나라에서 동물에 대한 인식을 단적으로 표현하는 말은  “사람 먹고 살기도 힘든데…” 이다. 사람 먹고 살기도 힘든데 다른 존재를 고려한다는 것은 배부른 소리라는 것이다. 2009년 대한민국은 1인당GDP 기준으로 세계15위라고 한다. 도대체 얼마나 더 배부르게 먹어야 다른 생명에게도 배려하는 마음을 가질 수 있을까?

외국의 많은 경우를 보면 경제적으로 여유가 생겨야만 다른 동물들을 배려하는 마음이 생기는 것 같지는 않다. 가난한 나라지만 사람이 사는 마을에는 개와 고양이 같은 동물들이 사람들과 어울려서 산다. 많은 사람들이 더불어 사는 세상을 이야기 한다.

그 더불어 사는 세상에는 누가 포함되는 것일까? 그 더불어 사는 세상의 테두리는 인간만이 들어갈 수 있는 것일까? 그 더불어 사는 세상에 자연의 생명들은 포함되면 안 되는 것일까? 인간이 존재할 수 있는 것은 식물을 포함한 세상의 생명들 덕분인데 말이다. 

박종무원장님프로필

[칼럼] 인간의 동물에 대한 착취는 언제까지 용인되어져야 하는가? <下> – 박종무

Loading...
파일 업로드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