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개·고양이 진료 5번 중 1번은 항생제 처방된다..대형 동물병원이 처방량 2배
국내 동물병원이 개·고양이 환자에게 처방하는 항생제가 증가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 병원이 중소형 병원보다 2배 많은 항생제를 처방했다. 충북대 수의대...
2025.03.05
3
바이오노트 Vcheck T4 진단 키트, 국제 학술지 JFMS에서 고양이 진단 성능 입증
바이오노트의 동물병원용 면역진단장비 Vcheck이 고양이 갑상샘기능항진증 진단에 우수한 성능을 보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탈리아 밀라노대학 연구진은 Vcheck의 T4 진단키트 검사 결과를...
2025.03.04
3
인공지능 VS 수의사, 동물 통증 평가에서 인공지능 판정승
동물의 통증 평가에 대해 인공지능(AI)과 수의사의 능력 차이를 비교한 논문이 발표됐다. 결과는 인공지능의 판정승이었다. 이스라엘 하이파대학교와 브라질 상파울루주립대 수의과대학교 연구팀은...
2025.02.19
2
국내외에서 다양한 ASF 대응 정책..양돈 피해 줄이려면?
서울대 수의대 수의과학연구소 태주호 연구교수팀은 대한수의학회가 발행하는 학술지 KJVR 최근호에 발표한 논문을 통해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정책을 국내외로 비교분석했다. 연구진은 ASF로 인한...
2025.01.22
1
개 유선종양, 근치적 유선 절제술이 예후 가장 좋았다
전남대 수의대 연구진이 개 유선종양 환자 95마리의 치료법에 따른 임상학적 지표를 후향적으로 분석해 학계에 보고했다. 근치적 유선 절제술을 받은 그룹에서...
2025.01.03
2
실내 곰팡이독소가 반려동물 아토피피부염 악화시킨다
실내 공기 오염인자 중 곰팡이독소가 반려견의 아토피피부염 증상을 악화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연구재단은 전남대학교 수의과대학 김하정 교수팀(제1저자 오송주 석사과정)이 실내...
2024.12.27
2
충남대·중앙백신연구소·아비넥스트·야생동물질병관리원, ASF 백신후보주 공동개발
충남대학교 수의과대학 이종수 교수팀이 중앙백신연구소, 아비넥스트,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과 함께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약독화 생백신 후보주를 개발했다. 국내 멧돼지에서 분리된 야외주 바이러스 공격접종에 대한...
2024.12.04
2
웨스턴동물의료센터, 고양이 위점막밑지방종 영상의학적 특징 보고
웨스턴동물의료센터가 고양이에서 발견한 위점막밑지방종(gastric submucosal lipoma, GSL)의 영상의학적 특징을 학계에 보고했다. 웨스턴동물의료센터 지서연 영상진단부장(사진)은 고양이 위점막밑지방종의 초음파상 특징을 캐나다수의사회가 발행하는...
2024.11.22
3
‘아차’ 탈모치료제 미녹시딜 약병 넘어뜨렸다가..핥아 먹은 고양이에 치명적 중독증
탈모치료제로 익숙한 미녹시딜(minoxidil) 성분이 고양이에서 심각한 중독증을 일으킬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고양이가 약병을 건드리다가 약액에 노출되면 위험한 상황으로 이어질...
2024.11.07
11
수의대 적응·학업성취도, 수시 입학생이 더 좋다?
어떤 전형으로 입학했는지에 따라 학업성취도와 졸업역량, 학업지속비율이 다른지를 분석한 연구결과가 국내 수의과대학에서는 처음 나왔다. 건국대 남상섭 교수는 2009년부터 2018년까지 건국대...
2024.10.09
0
‘왜 집에만 돌아가면 다시 아프지?’ 가정방문까지 한 서울대 동물병원 수의사들
‘왜 집에만 돌아가면 다시 아프지?’ 지난해 7월경 서울대 동물병원으로 의뢰된 4년령 암컷 포메라니안 환자 ‘토토(가명)’는 특이한 양상을 보였다. 서울대로 오기...
2024.09.19
134
국내 집단 발병 고양이 칼리시바이러스 감염증, 증상과 폐사율은 어땠을까
웨스턴동물의료센터가 고병원성 고양이 칼리시바이러스 전신감염증(FCV-VSD)의 원내 집단발병 대응 경험을 공유했다. 2018년 6개월간 두 차례에 걸쳐 내원 환묘 18마리가 FCV-VSD로 확진되거나...
2024.08.05
4
바이오노트 “Vcheck 개 cPL 검사, SCI급 저널서 높은 신뢰도 입증”
바이오노트가 자사 동물병원용 면역진단장비 Vcheck의 개 췌장염 진단·모니터링 바이오마커 cPL 검사가 연구 결과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고 2일 밝혔다. 서울대 김용백...
2024.08.05
8
국산 동물용 방사성 요오드의 고양이 갑상샘기능항진증 치료 연구 발표
충북대 강병택 교수팀이 갑상샘(갑상선)기능항진증 고양이 환자를 대상으로 한 방사성 요오드 치료(RAIT) 효과를 보고했다. 갑상샘기능항진증 환묘 10마리를 대상으로 국내에서 생산된 방사성...
2024.07.24
3
2023 구제역 바이러스 유전적 특징 분석..백신 매칭은 양호
농림축산검역본부 구제역진단과 연구진이 2023년 청주·증평에서 발생했던 O형 구제역 바이러스의 유전적 특징을 학계에 보고했다. 2023년 바이러스는 해외에서 새롭게 유입된 것으로 추정됐다....
2024.06.17
0
Loading...
파일 업로드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