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희명 건국대 교수, `반려동물 치매에 주의해야..조기 치료 중요`

반려견 인지장애증후군 증례 소개..활력저하∙수면변화∙배변실수 등 의심증상 시 내원해야


0
글자크기 설정
최대 작게
작게
보통
크게
최대 크게

160212 konkuk cds

건국대 수의대 박희명 교수팀이 11일 반려견의 인지장애증후군(Congnitive Dysfunction Syndrome) 증례를 소개했다.

박희명 교수는 “국내에서도 반려동물 고령화에 따라 사람의 치매와 비슷하게 뇌의 퇴행성 변화로 인해 인식기능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인지장애증후군이 늘어나고 있다”며 보호자들이 관심을 갖고 일선 동물병원에서 조기에 진단해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희명 교수팀이 소개한 증례는 지난해 8월 내원한 16년령 중성화 암컷 반려견으로 보호자를 잘 알아보지 못하고, 기존과 다른 장소에 배변하며 보행 시 균형을 잡지 못하는 증상으로 내원했다(주치의 박슬기 수의사).

당시 1년 전부터 시작된 인지장애증상이 한 달 사이에 악화된 해당 반려견은 인지장애 설문평가에서 33점(10~41점 스케일)을 기록, 심각한 인지장애증상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아울러 이안동물영상센터에서의 MRI 결과 뇌의 지주막하공간 및 뇌실의 확장, 시상간교 간격의 감소 등 뇌 실질 위축 소견이 발견됐다.

박희명 교수는 “인지장애 설문평가 점수와 뇌의 병리학적 변화의 연관성은 다양한 연구를 통해 밝혀진 바 있다”며 “해당 결과와 MRI를 분석한 결과 반려견의 인식장애증후군으로 진단됐다”고 설명했다.

건국대 동물병원은 해당 환축에 인지능력 증진 및 항산화기능을 가진 약물을 처방했지만 내원 3주 후 반려견은 자연사했다.

박희명 교수팀은 해당 반려견의 뇌 해마 부분에서 실시한 조직검사에서 리포푸신(Lipofuscin) 침착을 확인했다. 노화에 따른 산화적 산물인 리포푸신의 침착은 뇌조직의 손상 및 행동학적 변화와 연관되어 있다.

160212 konkuk cds3
A. 시상단면에서의 지주막하 공간 확장
B. 단축단면에서의 뇌실 상대적 크기 증가
C. 단축단면에서의 시상단교 간격 감소
(자료 : 이안동물의학센터)

박희명 교수는 “2001년 미국에서 180마리의 건강한 반려견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1~12년령 개의 28%에서 1가지 이상의 인지장애가 발견됐고, 15~16년령의 68%에서 2가지 이상의 인지장애가 관찰된 바 있다”며 “국내에서도 노령견이 늘어나는 만큼 인지장애증후군을 앓는 개도 많아질 것이기 때문에 지역 동물병원에서 이를 정기적으로 평가하고 조기 진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동물복지 측면에서 인지장애증후군을 초기에 잡아내어 치료함으로써 질병 악화를 최대한 늦춰야 한다는 것이다. 사람의 치매와 마찬가지로 동물에서도 완치는 어렵지만, 초기에 발견할 경우 다양한 내과적 치료와 생활관리를 통해 악화를 늦추고 삶의 질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다.

때문에 보호자들은 반려견이 활동력 저하, 방향감각 저하, 상호작용 변화, 수면시간 변화, 배변실수 증가 등의 증상을 보일 경우 인지장애증후군을 의심할 수 있으므로 동물병원에 내원해 증후군 여부를 평가해보아야 한다. 노령견의 경우 정기 건강검진 항목에 포함시켜 체크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박희명 건국대 교수, `반려동물 치매에 주의해야..조기 치료 중요`

Loading...
파일 업로드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