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실험기관에서 수의사 채용 의무화,수의사 직업 특권 아니야˝

전채은 대표, 실험기관에서 수의사 채용 의무화 필요성 강조


0
글자크기 설정
최대 작게
작게
보통
크게
최대 크게

20190703lab animal4

7월 3일(수) 국회도서관에서 ‘동물실험 정책의 현주소’ 국회토론회가 열렸다. 실험동물 관련 법·제도를 점검하고 실험윤리 확보를 위한 정책 방향을 모색한 토론회였다.

“실험기관에서 수의사 채용 의무화 주장, 수의사 특정 직업군에 대한 특권 아니야”

“수의사 의무 고용으로 실험기관 윤리성 강화·실험의 질 향상 가능”

이날 토론회에 패널 토론자로 나선 전채은 동물을위한행동 대표는 동물실험윤리위원회 제도의 한계점과 향후 방향에 대해 발표했다. 전 대표는 특히 위원회의 외부위원과 수의사의 역할을 중심으로 발표했다.

전채은 대표는 특히 ‘실험기관에서의 수의사 채용 필요성’에 대해 강조했는데, 이것이 수의사라는 직업군에 대한 특권이 아니라고 설명했다.

전채은 대표는 “연구자들이 진통제를 사용하지 못하거나 사용해야 하는 실험의 경우 오히려 신경을 쓰지만, 통증이 적다고 판단하는 경우, 관리에 소홀히 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며 “이런 경우를 동물실험윤리위원회(IACUC)에서 100% 관리하고 제어하기는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어 “연구자들의 경우, 동물의 생리에 대해 특별한 교육을 받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수의사들이 실험기관에서 동물의 건강을 책임지고 수의학적 프로그램을 책임지게 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수의사들을 실험기관에서 의무적으로 고용하도록 한다면 당장에는 예산이 늘어나는 것 같지만 결국 동물을 잘 관리하게 되어 실험기관의 윤리성이 강화되고 실험의 질도 향상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수의사 진로 쏠림 현상 해결에도 도움 될 수 있어”

실험기관에서 수의사 채용을 의무화하고 이 분야로 진출이 늘어날 경우, 최근 문제시되고 있는 ‘수의사의 소동물 임상 쏠림 현상’ 해결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설명도 있었다.

전채은 대표는 “현재 대부분의 수의과대학 학생들은 졸업 후의 진로를 소동물 임상으로 잡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소동물 임상 동물병원은 포화 상태”라며 “학생들은 실험기관에 직장이 많지 않기 때문에 실험동물수의사로서의 직업 선택을 미루고 있다”고 현 상황을 분석했다.

이어 “장기적으로 동물실험의 윤리성이 확립되려면 동물전문가가 실험기관으로 많이 진출할 수 있도록 해줘야 하고 이것은 정부의 몫”이라며 “많은 수의사가 동물관리보다 행정적 처리 일에 매몰되어 있으며 기관 내 수의사의 지위가 낮으니 연구자들도 수의사들을 신뢰하지 못하는 현상도 발생한다”고 전했다.

실험기관에서의 수의사 채용 의무화와 함께, 기관에서 수의사의 역할과 지위가 명확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처럼 실험동물수의사로의 역할과 지위가 명확해질 때 수의대생도 실험동물 분야로의 진출을 더 고민하게 될 수 있다.

승인 후 점검(PAM)에서도 수의사의 역할이 중요하다.

전채은 대표는 “현재 정부는 각 기관에 승인된 동물실험계획의 점검(모니터링, PAM)을 하도록 권유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수의사가 행정적 실무에 치여 제대로 이를 시행하지 못하고 있다”며 “연구자들은 자신의 실험 결과를 객관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없으며 가장 이상적인 PAM은 수의사들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동물실험기관에서 수의사 채용 의무화,수의사 직업 특권 아니야˝

Loading...
파일 업로드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