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동물질병관리원 ‘ASF 맷돼지 미끼백신 개발 가능성’

백신주 경구투여 한 미니피그서 60~70일 생존, 항체형성 확인


0
글자크기 설정
최대 작게
작게
보통
크게
최대 크게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이 멧돼지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산을 막기 위한 미끼백신 개발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26일 밝혔다.

국내 멧돼지와 사육돼지에서 발생하고 있는 ASF는 감염된 돼지 대부분이 폐사하는 전염병이지만, 아직 전세계적으로 개발된 백신이 없어 대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국내에서는 미국, 스페인 등 해외 연구진이 개발한 백신후보주를 대상으로 안전성·효능을 점검하는 과정이 진행되고 있다.

(자료 :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

이와 관련해 야생동물질병관리원과 ㈜코미팜, 전북대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는 지난해 8월부터 멧돼지 ASF 백신을 개발하기 위한 산학 공동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연구진은 미국 USDA에서 개발한 백신후보주를 활용하고 있다. ASF 바이러스에서 병원성 유전자 부위를 잘라낸 ∆I177L∆LVR 백신주다.

약독화된 생독백신주인만큼 효능은 물론 안전성이 핵심이다. 추후 미끼백신으로 살포되면 해당 백신주 바이러스가 야외에 만연하게 되는 셈이기 때문이다.

연구진은 미니피그 실험동물군에 백신후보주를 근육주사와 구강으로 투여했다. 투여군 모두 60~70일간 생존하면서 바이러스를 방어할 수 있는 높은 항체를 형성했다.

지난 7월 해당 연구결과를 먼저 전한 코미팜 측에 따르면, 기준치 이상의 항체를 형성한 경우 야외주(화천주) ASF 바이러스의 공격접종을 성공적으로 방어했다.

야생동물질병관리원 측은 “구강 투여한 실험에서 안전성이 확인돼 멧돼지용 ASF 미끼백신 개발 가능성을 보여줬다”고 설명했다.

내년에도 ASF 백신 개발을 위한 산학 공동연구는 계속 추진될 전망이다.

해외가 아닌 국내에서 자체적으로 백신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도 추진하고 있다. 야생동물질병관리원 측은 2025년을 목표로 국내 분리주를 대상으로 백신후보주를 선발, 안전성 평가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정원화 야생동물질병관리원 질병대응팀장은 “미끼백신 개발을 앞당길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야생동물질병관리원 ‘ASF 맷돼지 미끼백신 개발 가능성’

Loading...
파일 업로드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