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축산, 반려동물까지 항생제 해법은 원헬스 관점에`

내성균, 내성인자 전파 가능..사람·축산 너머 반려동물, 환경까지 모니터링 확대해야


0
글자크기 설정
최대 작게
작게
보통
크게
최대 크게

160921 amr1

의료계, 수의계 항생제 내성 관련 전문가들이 한 자리에 모였다. 원헬스(One-Health)적 관점에 기반해 내성문제의 해결책을 강화해야 한다는데 목소리를 높였다.

연세대 의과대학 세균내성연구소와 질병관리본부는 21일 강남세브란스병원에서 ‘2016년 항생제 내성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날 심포지엄에는 세계보건기구(WHO) 국제항생제내성감시체계(GLASS) 책임자인 카르멤 박사가 내한, WHO와 세계 각국의 항생제 내성 관련 행동계획을 소개했다. 이어 보건복지부가 지난달 발표된 `국가 항생제 내성 관리대책 2020`을 소개하고 의료계의 내성 임상 감시체계를 설명했다.

동물과 환경에서의 항생제 내성 실태와 관련 대책을 소개하는 원헬스 세션도 이어졌다. 해마루소동물임상의학연구소 황선영 박사와 검역본부 임숙경 연구관, 우건조 고려대 교수가 반려동물과 산업동물, 식품 및 환경에서의 항생제 내성 실태를 소개했다.  

160921 amr2
해마루소동물임상의학연구소 황선영 박사

반려동물-사람 항생제 내성 연관 가능성..2018년 국가 예찰 도입 계획

반려동물 항생제 내성문제에 대한 국내외 연구결과를 소개한 황선영 박사는 “반려동물과 사람 사이에 항생제 내성균이 직접 전파될 가능성은 드물지만 배제할 수 없다”며 “반려동물에 감염된 세균이 내성유전자의 저장소 역할을 할 수 있는 만큼, 반려동물에서의 내성 실태에 대한 객관적 데이터를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정부는 매년 가축과 축산물에서의 항생제 내성 실태를 조사해 발표하고 있지만 반려동물은 조사 대상에서 제외되어 있다. 산업동물에 비해 항생제 사용량은 적지만, 인의용 항생제를 다수 사용하는 만큼 실태파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축산분야 항생제 내성 예찰을 담당하고 있는 농림축산검역본부 임숙경 연구관은 “국가항생제내성관리대책에 따라 오는 2018년부터 반려동물의 항생제 내성에 대한 국가 차원의 예찰프로그램을 도입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황선영 박사는 “모니터링 사업을 도입할 경우, 시료채취 과정에서의 오류문제를 예방하려면 숙련된 임상수의사의 참여가 전제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160921 amr3
농림축산검역본부 세균질병과 임숙경 연구관

축산분야 항생제 내성 대책, 사료첨가 금지·수의사처방제 강화 두 축

임숙경 연구관은 축산분야 항생제 내성 대책의 두 축으로 ‘항생제 사료첨가 금지’와 ‘수의사처방제’를 꼽았다.

2011년 항콕시듐제 9종을 제외한 모든 항생제의 사료첨가가 금지되면서 이후 축산분야 항생제 사용량은 연간 1천톤 미만을 유지하고 있다. 배합사료에 주로 첨가되던 테트라싸이클린은 사용량이 종전 3분의 1 수준까지 감소하면서 내성률도 감소세에 접어드는 등 성과를 보이기도 했다.

반면 퀴놀론계, 페니콜계, 세펨계 항생제 사용량은 증가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가금과 양돈 부야에서 플루오르퀴놀론 항생제 사용이 보편화되어 있고, 세펨계의 경우도 제3, 4세대 항생제 위주라 내성 추이를 관심있게 지켜봐야 한다는 것.

이와 함께 의료감염 법정전염병 지정 항생제 내성균 중 MRSA는 축산 분야에서도 일부 분리되고 있다고 밝혔다.

임숙경 연구관은 “우리나라는 축산 선진국에 비해 축산분야 항생제 내성률이 높은 편”이라며 퀴놀론계 항생제를 중심으로 내성 대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수의사처방제 처방대상 항생제도 현행 20종에서 두 배 이상으로 늘려 나갈 계획이다.

우건조 고려대 교수는 “사료첨가 항생제 금지, 수의사처방제 도입을 이끌어낸 한국의 국가항생제내성안전관리사업은 이미 원헬스적 시각을 적용해온 것”이라며 “국제적으로도 항생제 내성문제의 해결방향이 원헬스에 있다는 공감대가 이미 형성됐다”고 진단했다. 

`사람, 축산, 반려동물까지 항생제 해법은 원헬스 관점에`

Loading...
파일 업로드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