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은 학습자들이 많이 질문하는 ‘회맹결장 접합부위(Ileocecocolic junction)를 초음파기기로 어떻게 쉽게 찾을 수 있나’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1. 소장 및 대장에 대한 이해
초음파로 회맹결장 부위를 잘 찾기 위해서는 우선 초음파 스캔 시 위장관 각 분절에 대한 초음파학적 이해가 있어야 합니다. 아래 표1은 위장관 각 분절의 두께입니다. 개에서는 십이지장이 다른 위장관 분절보다 다소 두꺼운 것이 특징이고, 고양이는 개와 다르게 소장분절들의 두께가 거의 비슷합니다.

회맹결장을 찾기 위해 각 분절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11.
회장: 정상적인 개와 고양이의 회장은 짧고, 일반적으로 복강의 우측 앞쪽에서 중간 사분면에 위치하며, 오른쪽 신장의 내측에 있습니다. 회장은 횡행결장 또는 회장(맹장)결장 접합부를 가이드로 사용하여 찾을 수 있습니다.
위체 바로 아래쪽에 있는 횡행결장은 정중선 오른쪽에서 상행결장 수준까지 이어집니다. 회장은 정상적인 가스로 채워진 맹장에 끼여 있기 때문에, 고양이보다 개에서 식별하기 더 어렵습니다.
회맹결장과 회장결장 접합부: 회맹결장 연접부위(고양이) 혹은 회장결장부위(개)는 우측 앞쪽의 복부 사분면에서 내측의 우측 신장 부위 안에 존재합니다.
맹장: 개와 고양이의 맹장은 하행십이지장의 내측에 있는 낭성구조로 일반적으로 회장(맹장)결장 접합부의 외측에서 발견됩니다. 이곳은 가스로 가득 찬 장부분이 겹쳐 있기 때문에 맹장을 항상 식별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결장: 고양이의 경우 결장의 모든 부분이 회맹결장 접합부에서 시작하며, 개는 회장결장 접합부에서 시작합니다. 상행결장을 따라 앞쪽 방향으로 프로브를 스캔해서 완전히 평가합니다. 상행결장은 오른쪽 앞쪽 복부사분면에 있는 대장의 짧은 부분입니다. 횡행결장은 왼쪽으로 스캔을 계속하며, 위를 랜드마크(landmark)로 사용하여 쉽게 식별할 수 있습니다. 위의 대만곡 바로 아래쪽에 있습니다(그림 1). 하행결장을 따라 아래쪽으로 계속하여 결장 스캔을 마칩니다.


방광을 랜드마크로 사용하여 하행결장을 식별합니다(그림 2). 역방향 접근법(하행결장, 횡행결장, 상행결장)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가스나 대변이 들어 있는 하행결장은 방광 바로 등쪽에 있습니다. 그리고 회장과 결장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점으로는 ‘일정한 직경’, ‘벽의 두께’, ‘뚜렷한 벽의 layering’, ‘관내 내용물의 존재’, 그리고 ‘연동운동’ 등이 있습니다.


2. 회맹결장부위의 중요성
① 폐색 및 장중첩이 잘 일어나는 곳
어린 개와 고양이에서 장의 중첩이 잘 일어나는 곳입니다 11.
② 고양이에서 종양이 잘 발생하는 곳
고양이는 림포마와 adenocarcinoma 같은 위장관의 종양이 잘 발생합니다. 이런 종양의 대부분이 회장결장 접합부위에서 형성되거나 근처에 생기며11, 다른 장질환에도 회장결장 림프절이 커질 수 있습니다.
3. 초음파 스캔 시 회맹결장 접합부위를 찾는 요령
① 방법112: 아래 그림과 같이 방광 수준의 하행결장부터 찾은 뒤, 위로 올라오면서 횡행(가로결장)을 찾고, 이어서 아래로 상행결장을 찾아 내려오는 방법이 있습니다.

② 방법2: 우측 신장을 시상면으로 해서 스캔합니다. 그리고 프로브를 내측으로 슬라이딩합니다. 회장은 뚜렷한 벽 layering을 가지며 다른 소장분절보다 약간 두껍습니다. 시상단면을 유지하며 내려오면서 결장의 횡단면까지 내려오면서 찾습니다. 하행결장은 회장보다 크며, 더 얇은 벽과 가스와 분변으로 지저분한 음향 그림자를 나타냅니다.
③ 방법3: 먼저 스캔하여 횡행(가로)결장을 찾은 뒤에, 뒤쪽으로 움직여서 상행결장과 회장을 찾는 방법입니다. 일단 회장결장 접합부위를 찾으면, 이곳에 다른 커다란 림프절이 있나 검사합니다.
4. 초음파 스캔 시 나타난 회장(맹)결장 접합부위12
복부초음파 스캔을 통해서 나타난 회장(맹)결장 접합부위입니다.



참고문헌:
1. Penninck DG, Nyland TG, Fisher PE, Kerr LY. Ultrasonography of the normal canine gastrointestinal tract. Vet Radiol Ultrasound. 1989;30(6):272-276.
2. Newell SM, Graham JP, Roberts GD, et al. Sonography of the normal feline gastrointestinal tract. Vet Radiol Ultrasound. 1999;40(1):40-43.
3. Goggin JM, Biller DS, Debey BM, et al. Ultrasonographic measurement of gastrointestinal wall thickness and the ultrasonographic appearance of the ileocolic region in healthy cats. J Am Anim Hosp Assoc. 2000;36(3):224-228.
4. Stander N, Wagner WM, Goddard A, Kirberger RM. Normal canine pediatric gastrointestinal ultrasonography. Vet Radiol Ultrasound. 2010;51(1):75-78.
5. Penninck DG, d’Anjou M. Atlas of Small Animal Ultrasonography. 2nd ed. Ames: Wiley Blackwell; 2015.
6. Di Donato P, Penninck D, Pietra M, et al. Ultrasonographic measurement of the relative thickness of intestinal wall layers in clinically healthy cats. J Feline Med Surg. 2014;16(4):333-339.
7. Larson MM, Biller DS. Ultrasound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Vet Clin North Am: Small Anim Pract. 2009;39:747-759.
8. Hahn H, Pey P, Baril A, et al. Ultrasonographic, endoscopic and histological appearances of the caecum in cats presenting with chronic clinical signs of caecocolic disease. J Feline Med Surg. 2017;19(2):94-104.
9. Mahony OM, Moore AS, Cotter SM, et al. Alimentary lymphoma in cats: 28 cases(1988-1993). JAVMA. 1995;207(12):1593-1598.
10. Penninck DG, Moore AS, Tidwell AS, et al. Ultrasonography of alimentary lymphosarcoma in the cat. Vet Radiol Ultrasound. 1994;35(4):299-306.
11. Huynh E, Berry CR. Ultrasonography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ileum, cecum, colon. TVP journal. com. 2018; March/April.
12. Azoulay F, Fritz J, Rault D, et al. Ultrasonographic assessment of the normal ileocecocolic junction in dogs. Vet Radiol Ultrasound. 2025;66(1):e1345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