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등록정보 매년 갱신하고, 고양이 등록 의무화해야”

어웨어, 국민 2천명 대상 동물복지정책 인식조사 결과 발표


1
글자크기 설정
최대 작게
작게
보통
크게
최대 크게

국민 대다수가 동물등록정보의 정기적인 갱신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사)동물복지문제연구소 어웨어가 지난해 10월 28일부터 11월 2일까지 국민 2,000명 대상으로 진행한 <2022 동물복지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결과다(조사 기관 : 마크로밀 엠브레인, 95% 신뢰수준 표본오차 ±2.19%).

어웨어는 반려동물 소유자의 책임을 강화하기 위해 등록된 동물의 정보를 정기적으로 갱신하는 제도에 대해 물었다. 그 결과, 동의한다는 응답 비율이 96.4%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동의 정도는 4점 만점에 3.55점이었다. 전년 대비 각각 0.7%P, 0.09점 증가한 수치다.

특히, 매우 동의한다는 응답이 58.7%를 차지해, 응답자 절반 이상이 반려동물 등록정보 갱신제 도입에 적극 찬성했다.

반려동물 양육자(95.4%)와 비양육자(96.9%) 모두 유사한 수준의 동의율을 보인 만큼, 갱신제 도입의 사회적 합의가 어느 정도 이뤄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현재 우리나라는 동물등록을 한 번 하면, 특별한 정보 변경(주소, 연락처, 등록동물 사망 등)이 없는 한 동물등록정보 갱신하지 않는다. 반면, 세계 여러 국가에서는 매년 일정 등록비를 내고 동물등록 정보를 갱신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일부 국가나 주에서는 동물등록 정보를 갱신하면 색깔이 있는 인식표를 발급하는데, 매년 다른 색의 인식표를 발급하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동물등록 갱신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매년 일정한 등록비를 내거나 세금을 부과하는 것이 반려동물 양육자의 책임 강화에 효과가 있을 까라고 묻는 질문에는 63.9%(매우 그렇다 30.5%, 그렇다 33.5%)가 긍정적으로 답했다.

호주 Gympie의 동물등록 갱신 홍보물과 색깔이 있는 인식표

어웨어 “반려동물 등록정보 갱신제 도입 필요”

동물복지문제연구소 어웨어는 “독일, 영국, 미국, 싱가포르 등 반려동물 등록제를 운용하는 다수의 국가에서 동물 소유자가 매년 또는 기간을 정해 일정 등록비를 지불하고 동물에 대한 정보를 갱신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며 “반려동물 등록 갱신제를 도입해 동물을 계속 기르고 있는지 여부를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소유자 정보를 최신으로 유지하면 유기동물 반환율을 높이고 보호자 책임 인식을 높이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고양이 보호자 10명 중 8명 ‘고양이 동물등록 의무화 찬성’

마당개 보호자 절반 이상 ‘동물등록 안 해’

한편, 반려묘 양육자(251명) 중 82.5%가 동물등록제 대상을 고양이로 확대해야 한다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특히 연령대가 낮을수록 고양이 등록제에 대한 동의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확인됐다(20대 96.7% > 30대 90.4% > 40대 79.1% > 50대 71.2% > 60대 69.8%).

현재, 우리나라 동물등록제는 개를 대상으로만 의무화되어 있고, 고양이의 등록은 자율에 맡겨져 있다.

반려견 보호자(485명) 중 동물등록을 했다는 응답률은 70.7%였는데, 농어촌의 응답률(61.5%)이 도심(72.1%)보다 10.6%P 낮게 나타났다.

또한, 반려견을 실내에서 양육하는 사람은 73.9%가 동물등록을 했다고 답했지만, 마당에 묶어서 기르는 경우는 46.5%만 동물등록을 했다고 응답해 큰 차이를 보였다.

*어웨어의 <2022 동물복지에 대한 국민인식조사>를 바탕으로 중성화수술 여부, 개식용, 마당개 중성화사업 등에 대한 응답을 소개하는 기사를 시리즈로 게재합니다.

“동물등록정보 매년 갱신하고, 고양이 등록 의무화해야”

Loading...
파일 업로드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