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당국-학계-한돈협회, PED 방역대책마련 고심


0
글자크기 설정
최대 작게
작게
보통
크게
최대 크게


131220PED회의2

농식품부 차관보 주재, 지자체∙학계∙한돈협회 의견 교환

농림축산식품부는 최근 돼지유행성설사병(PED)이 확산됨에 따라 지난 12월 20일 차관보(이준원) 주관으로 학계, 시․도, 관련기관 관계자가 참석하는 ‘PED 방역강화 대책회의’를 개최했다.

동절기(11~4월)에 주로 발생하는 PED는 2010년 구제역 발생에 따른 가축 살처분∙농장별 소독∙차단방역 강화 등의 영향으로 발생이 급감했다. 하지만 구제역 종료 후 2년여가 지난 올해 5월부터 경기, 충남, 경북, 경남에서 산발적으로 다시 발생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12월 9일 전국에 PED 발생주의보를 발령했다. 발생농장 이동제한, 축산관계시설 소독 강화, SMS 등을 통한 방역 홍보와 함께 13일까지 발생지역 및 의심지역의 임신 모돈 30만두(경기∙충북∙충남∙경북∙경남에 각 6만두분)에 대해 긴급 예방접종을 실시했다.

131220PED회의3
자료 : 농림축산식품부

백신접종 미흡, 미신고 등으로 확산위험, 초동대응 어렵다 지적

20일 회의에 참석한 지자체 방역담당자들은 현재 공식적인 발생보고 9건 이외에도 신고되지 않은 추가 발생농장이 있을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발생시 이동제한 조치 등을 꺼리는 농장주들이 방역당국으로의 신고를 하지 않은 채 민간병성감정기관 등과 연계해 자체 대응에 나서고 있다는 것. 이 때문에 초동 방역에 애를 먹고 있다는 것이다. 백신을 지원해줘도 방역의식이 소홀해져 접종하지 않는 농가가 많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에 대해 한돈협회 등 생산자단체가 자체적인 홍보 및 인센티브제도를 통해 농가의 PED 방역활동 강화에 나서야 한다는 의견이 개진됐다.

이 날 회의에 참석한 이병규 한돈협회장은 “가축전염병 확산을 농가의식부족 때문만으로 몰고가는 것은 옳지 않다”면서도 “협회차원에서 생산자 모임을 전면 취소하고, 지부를 통해 발생현황 파악 및 방역정책 전달 등 확산 방지에 적극 협조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봉균 교수 ‘PED 확산 시 내년 상반기 돈가 상승 위험’

박최규 교수 ‘인공감염 사용에 주의 필요’

서울대 수의대 박봉균 교수는 “모돈감축정책으로 외부 후보돈 입식이 줄어 확산 방지에 도움이 됐다”면서 “모돈을 감축했는데 PED로 인한 자돈 폐사가 많아지면 당장 내년 상반기 돈가가 상승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올해 5월에 발생한 미국 PED가 미국 전체 양돈농장의 20%까지 확산됐다”면서 방역시스템 재점검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경북대 수의대 박최규 교수는 “농장 자체적으로 인공감염 방법으로 대응할 경우 단기간 대량의 바이러스가 증식해 감염원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면서 “주변 농가나 방역당국에 알리지 않고 사용하면 확산 위험이 있다”고 주의를 요구했다.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시∙도, 관련단체(협회)의 단체장 및 부단체장 등 간부진이 앞장서 축산농가가 예방접종, 소독 등 차단방역 조치를 철저히 할 수 있도록 지도∙점검을 강화해 줄 것”을 요청하면서 “PED가 감염시 자돈의 폐사가 심해 경제적 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양돈농가 출입차량 및 운전자, 농장 내∙외부 소독은 물론 임신 모돈 예방접종에 힘써 달라”고 당부했다.

 

방역당국-학계-한돈협회, PED 방역대책마련 고심

Loading...
파일 업로드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