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은 전문가인 수의사에게˝

방역 조직에 전문성·일관성 부족...수의사 중심의 전문방역조직 필요


0
글자크기 설정
최대 작게
작게
보통
크게
최대 크게

수의사 중심의 방역조직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다시 한 번 제기됐다.

5일 개최된 ‘AI 국내 발생 방지를 위한 공청회’에 참석한 수의사와 수의과대학 교수는 물론 생산자 대표까지 ‘수의사를 중심으로 한 일관성 있는 전문 방역 조직’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송창선 건국대 수의대 교수는 패널 토론에서 “현재 방역 시스템의 문제 중 하나는 컨트롤 타워가 너무 자주 바뀌는 것”이라며 “전문성과 일관성을 가지고 방역 정책을 펼 수 있도록 조직개편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문정진 토종닭협회 부회장 역시 “사람 질병은 의사에게, 약은 약사에게 처럼 방역은 전문가인 수의사에게 맡겨야 한다”며 “방역 담당자가 계속 바뀐다. 올해도 아직 AI가 끝나지 않았는데 담당 사무관이 바꼈다. 이제는 이쪽 분야 전문가인 수의사를 중심으로 방역이 이뤄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이재용 농식품부 방역총괄과 사무관은 “한 번 임명되면 오랫동안 활동해야 하는 전문가 제도를 도입했으며, AI와 관련하여 검역본부에 새로 AI센터가 생기기 때문에 체계적인 방역활동이 가능할 것”이라고 전했다.

하지만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는 위치에 전문가인 수의사가 배치되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모인필 조류질병교수협의회장은 AI 상재화 방지를 위한 제안 중 하나로 ‘AI 전문국가기구 설립’을 꼽으며 “전문가에 의한 방역정책 결정이 이뤄져야 하는데, 의사 결정을 하는 위치에는 항상 비전문가가 있었으며, 2~3년 주기로 AI가 발생할 때 마다 담당자가 바뀌는 문제가 있다. HPAI가 벌써 5번 발생했지만, 의사 결정 담당자가 자주 바뀌다 보니, 담당자는 늘 AI를 처음으로 경험하여 적극적인 대처를 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비전문가에 의한 의사결정은 이제 그만되어야 한다”며 의사 결정 위치에 수의방역 전문가가 필요하다는 뜻을 내비쳤다.

한편, 역대 최악의 피해를 입힌 AI 발생으로 인해 농식품부에 수의국(방역정책국)이 신설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올해 초부터 지속적으로 제기됐지만, 수의국 신설은 아직까지 이뤄지지 않은 상황이다.

 

데일리벳 관리자
Loading...
파일 업로드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