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경없는 수의사회, 마당개 중성화 늘려야..`정작 견주는 관심 부족` 과제

안성서 마당개 중성화 프로젝트 이어가..지자체 협조·주민 관심·수의사 참여 서로 공감대 늘려야


0
글자크기 설정
최대 작게
작게
보통
크게
최대 크게

국경없는 수의사회(대표 김재영)가 마당개 중성화 지원사격에 나섰다.

마당개의 무분별한 번식은 유기동물·들개 문제의 핵심 원인으로 지목된다. 이를 막기 위한 중성화 사업이 올해부터 시작됐지만, 정작 농촌지역 주민들의 공감대가 부족하다는 문제에 봉착했다.

국경없는 수의사회는 26일 안성 삼죽면 삼죽권역도농교류센터에서 제2회 마당개 중성화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지난해 6월 양주 봉사에 이어 두 번째다.

국경없는 수의사회, 마당개 중성화 나서

유기동물·들개 문제 핵심 과제

이날 봉사단은 안성 삼죽면 인근의 시골 마당개 10여마리와 길고양이 7마리를 대상으로 중성화수술 봉사를 진행했다.

국경없는 수의사회 수의사·일반 봉사대원과 함께 건국대·경북대·서울대·전남대·충남대·충북대 수의대생들이 봉사에 참여했다. 바이오노트가 수술을 받는 동물들의 감염성 질환 진단을 도왔다.

마당개 중성화는 유기동물·들개 문제를 줄이기 위한 핵심과제로 꼽히고 있다.

동물자유연대가 2021년도 유실·유기동물 발생 양상을 분석한 결과 78%가 비품종견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도시가 아닌 도지역에서 발생한 비품종 유실·유기견의 54.5%가 1년령 미만의 어린 강아지였다. 품종 유실·유기견에서 1년령 미만 개체가 차지하는 비율(8.1%)보다 훨씬 크다.

이들 상당수가 마당개에서 탄생한 개체로 추정된다. 마당에 묶어 기르는 개체와 동네 인근을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개체가 번식한 결과다. 같은 보고서에서 대도시의 유기동물 발생률은 정체됐지만, 시골 지역의 증가세가 두드러진다는 점도 이 같은 추정을 뒷받침한다.

정부도 마당개 중성화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2026년까지 실외사육견의 85% 이상을 중성화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올해 18,750마리에 대한 중성화 지원 예산 75억원을 편성했다.

김재영 대표는 “동물병원 진료비가 비싸서 버린다는 건 오해다. 보호소에는 어린 비(非)품종견이 많다”면서 “개체수 관리가 안되는 마당개에서 큰 원인을 찾을 수 있다”고 말했다.

예전에는 예기치 않던 강아지가 태어나도 이웃에게 주거나 지역 시장에 판매하는 등 개체수가 조절됐지만, 이제는 이 같은 방식도 여의치 않다 보니 유기동물보호소로 가거나 들개화된다는 것이다.

지자체 협조 없인 어려워

정작 마당개 키우는 주민들은 관심 부족

TNR도 정착에 10년 걸려..시간이 필요하다

김재영 대표는 마당개 중성화는 지자체 협조 없이 성공하기 어렵다는 점을 강조했다.

보호소 측과의 협조만 잘 되면 진행할 수 있는 사설 보호소 봉사와 각자 주인이 있는 마당개의 중성화 봉사는 다를 수밖에 없다. 봉사 당일 이전에 중성화 대상을 모으고 안내하는 일, 장소 섭외 등이 추가로 요구된다.

이날 국경없는 수의사회 봉사활동도 안성시청의 적극적인 협조 하에 진행됐다.

안성시청은 6월부터 봉사활동이 예정된 삼죽면을 중심으로 중성화수술을 받을 마당개 신청 접수에 나섰다. 이날 봉사활동이 진행된 삼죽권역도농교류센터의 장소 섭외도 지원했다.

문제는 정작 주민들의 반응이 시큰둥하다는 것이다. 국경없는 수의사회 봉사단이 하루 30마리 중성화는 거뜬히 수행할 수 있는 규모를 갖췄지만, 그만큼 신청자가 없었다.

안성시 관계자는 “지방선거 이후부터 준비하느라 시간이 넉넉치는 않았지만, 지역 견주분들이 (마당개 중성화) 필요성을 잘 못 느낀다는 점이 문제”라고 토로했다.

처음에는 봉사장소 인근 위주로 마당개를 섭외하려 했지만 충분치 않았고, 기존 예산지원사업의 대기인원에게까지 연락을 돌렸다는 것이다.

그나마 오기로 했던 20마리도 당일 연락이 두절되거나 일부 개체만 방문하면서, 10마리를 조금 넘는 수준에 그쳤다.

시 관계자는 “오히려 반려목적으로 품종견을 기르시는 분들의 신청 문의가 많다”면서 “정작 중성화 지원이 필요한 마당개를 기르는 분들은 읍면사무소나 이장님들을 통해 사정하며 설득해야 하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마당개 중성화 필요성에는 공감했다. 동물보호부서에는 ‘예기치 않게 태어난 마당개의 새끼들을 알아서 처리해달라’는 식의 막무가내 민원까지 들어온다는 것이다.

김재영 대표는 “길고양이 TNR도 처음 도입된 후 전국적으로 정착하는데 10년 이상 걸렸다”면서 “마당개 중성화도 시민들의 공감대가 올라오는데 시간이 걸릴 것이다. 시골 어르신 분들이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도 자제분들이라도 부모님을 설득해 중성화를 받도록 하는 문화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그러면서 “기존 보호소에 대한 동물의료봉사에는 이미 여러 수의사분들이 나서고 있다. 국경없는 수의사회는 마당개 문제에 봉사하며 정책적 제안에도 나설 것”이라고 덧붙였다.

데일리벳 관리자
Loading...
파일 업로드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