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가 꿀벌 피해 대응을 위한 민관 전문가 협의체를 운영한다고 12일 밝혔다.
국내 양봉농가는 매년 겨울 전후로 피해를 입고 있다. 봉군 내의 꿀벌이 사라지거나 세력이 약해지는 현상이다. 기후변화와 양봉밀도 상승, 응애 내성 등 다양한 원인이 지목된다.
하지만 민관이 각각 집계한 피해 정도는 다르다.
정부는 월동 전후로 실시한 농촌진흥청 표본조사를 기준으로 판단했다. 2022-2023년 겨울 월동 전 착봉률(64.5%)과 월동 후 착봉률(53.2%)을 비교하면 약 17.5%의 벌이 사라진 것으로 추산했다.
반면 1일 토론회에서 한국양봉농협, 한국양봉협회가 발표한 자체 조사 결과의 피해규모는 봉군의 60%에 달했다.
농식품부는 “일반적으로 월동 중 약 15%의 꿀벌이 소실되지만, (내성응애로 인한) 월동 전 피해까지 감안하면 이전 동절기보다 피해가 다소 큰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정재환 농식품부 축산정책과장은 지난 1일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꿀벌집단 폐사 대책 국회토론회에서 양봉산업협의체 구성을 예고했다. 꿀벌 피해를 정확히 집계하고 대응방향을 논의할 기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번에 출범하는 지속가능한 양봉산업협의체는 농식품부 식량정책실장을 위원장으로 생산자단체와 전문가, 관계기관 등 25명 내외로 구성한다.
우선 농진청과 생산자단체, 지자체별로 다른 양봉농가 사육현황에 대해 정밀한 조사방법을 합의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정책마련에 필요한 기초통계를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아울러 사육밀도 관리, 밀원 수 확보 방안, 농약·살충제 등이 양봉에 미치는 영향, 양봉산업의 공익적가치 증진방안 등 중장기 발전방향과 연구개발(R&D)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논의해 나갈 계획이다.
농식품부 김정희 식량정책실장은 “지속가능한 양봉산업협의체가 월 1회 이상 직접 만나 필요한 과제와 해결방안을 마련해나감으로써 양봉산업에 보다 더 효과적인 정책이 마련될 것”이라고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