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 결핵 혈액검사 결과, 믿을 수 있습니까

오래된 혈액시료 변성, 위음성 위험 지적..요일별·채혈주체별 편차 심해


0
글자크기 설정
최대 작게
작게
보통
크게
최대 크게

소 결핵 예찰에 활용되는 감마인터페론 검사(IGRA)에 의문부호가 제기됐다. 위음성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는 것이다.

각 혈액검체가 감마인터페론을 제대로 생산해낼 수 있는 상태인지 점검하도록 의무화되어 있지 않다 보니 벌어진 현상으로 풀이된다.

22일 소노벨 변산에서 열린 한국동물위생학회 제44차 학술발표대회에서 전북동물위생시험소 서부지소 연구진은 소 결핵 감마인터페론 검사시료의 유효성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감마인터페론 분비능을 가늠하는 양성대조군(mitogen) 검사를 실시한 결과, 무려 24%의 시료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mitogen OD값-PBS OD값<0.5 기준). 소 결핵 혈액시료의 정도관리 체계가 필요한 이유다.

이 같은 문제의 주요 원인으로는 채혈과 시료 송부 간의 시간차가 지목되는데, 시간 제한이 있는 시료채취에 일선 공수의들도 어려움이 있는 만큼 공공기관이나 공수의 채혈인력을 늘려 부담을 나눠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곽길한 전북동물위생시험소 서부지소 방역팀장

전북 서부지소 소 결핵 시료 4만건 검사해보니..25%가 부적합

채혈 인원별 부적합 편차 극명..최대 70%

감마인터페론 검사는 현행 ‘결핵병 및 브루셀라병 방역실시요령’에 따른 결핵 검사방법이다. 소에서 전혈을 채취해 결핵균에 대한 세포매개성 면역반응 정도를 측정한다.

전혈에 포함된 면역세포에 결핵균 특이 항원을 반응시키면 감마인터페론이 분비된다. 이 때 이미 결핵균에 감작된 면역세포는 감마인터페론을 더 많이 분비한다는 점을 활용한 검사다.

여기에는 해당 혈액검체의 면역세포가 반응할 수 있는 ‘신선한’ 상태여야 한다는 점이 전제된다.

시간이 너무 오래 지났거나 보관이 잘못되어 면역세포가 이미 상당수 파괴됐다면, 결핵감염우에서 채취한 혈액검체라 하더라도 감마인터페론 검사에 음성 결과(위음성)를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전북동물위생시험소 서부지소)

서부지소 연구진은 소 결핵 검사 시료의 위음성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mitogen 검사를 활용했다.

Mitogen 검사는 사람의 결핵검사에서 양성대조군으로 활용된다. 국가결핵관리지침은 양성대조항원 검사결과값이 0.5 IU/ml 이하인 경우에는 ‘판독불명(indeterminate)’으로 판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위음성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연구진이 2021년 8월 이후 서부지소에 의뢰된 소 결핵 검사시료 41,071개를 대상으로 mitogen 시험을 병행한 결과 10,426개가 0.5 미만으로 측정됐다. 사람의 결핵검사기준으로 따지면, 부적합 시료의 비중이 25%에 달한 셈이다.

채혈기관별 편차도 눈길을 끌었다.

서부지소에 결핵 검사를 의뢰하는 3개 시군의 부적합 비율은 21%~38%의 편차를 보였다.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16%), 시험소(14%)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실제 채혈을 실시한 인원별 편차는 더욱 극명했다. 부적합 시료(0.5미만 기준)의 비중이 낮게는 6.9%에 그쳤지만, 높게는 70%를 돌파했다.

채혈인원별로 mitogen 기준 부적합도에 큰 편차를 보였다.
(@전북동물위생시험소 서부지소)

혈액시료 신선도 모니터링 체계 필요

일선 시료채취도 부담..실질적 채혈인력 늘려야

이처럼 부적합 시료 발생 문제가 지적되는 가장 큰 요인으로는 ‘시간’이 지목된다.

혈액을 채취한 후 시간이 지날수록 용혈이 일어나거나 면역세포의 활성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는데, 채혈요원의 사정상 시험소로의 송부가 늦어지게 되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날 서부지소가 발표한 요일별 부적합 비율에서 ‘화요일’이 가장 높다는 점도 이를 시사한다(0.1미만 기준).

배양 후 검사해야 하는 감마인터페론 특성상 금요일에는 시료를 접수하지 않다 보니, 전주에 채혈한 시료가 월요일에 접수돼 화요일에 검사하는 상황이 벌어진다는 얘기다.

검역본부는 채혈 후 24시간 이내, 가능한 채혈 당일에 배양을 시작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사람 결핵검사는 mitogen 검사수치가 기준 이하일 경우 판독불명으로 판정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2021 국가결핵관리지침)

이날 연구결과를 발표한 곽길한 서부지소 방역팀장은 “인력난이 심한 시험소에서 직접 채혈하는 검사는 앞으로 더 어려워질 것”이라며 “공수의 등 외부인력이 채혈한 검체를 검사하는 물량이 더 많아질 것인만큼, 시험소에 의뢰되는 검체가 얼마나 적합한지 모니터링하는 체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좌장을 맡은 조호성 전북대 교수도 “시료 수송과정에서 오류가 생기는 것은 국가적 손실이다. 대안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 일선 소 임상수의사는 “당일 시험소에 가지 못할 경우에는 (결핵검사용) 채혈도 하지 않으려 하지만, 현장에서는 다양한 상황이 발생해 어쩔 수 없는 경우도 생긴다”면서 “결핵 1~2마리 채혈을 위해 왕복 2~3시간을 소비해야 할 상황이 생기는 것도 부담”이라고 토로했다.

마리당 1만원 수준이 채혈비가 낮긴 하지만 일부 상향해도 문제를 해결하기는 어렵다면서 공공기관의 채혈지원을 늘리거나, 실제로 진료하는 소 임상수의사의 공수의 인력을 확충해 부담을 낮춰야 한다고 촉구했다.

데일리벳 관리자
Loading...
파일 업로드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