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조류 보존과 고병원성 AI 대응을 함께` HPAI 심포지엄 개최

가금·철새 간 바이러스 전파경로 연구 필요..철새도래지 대상 과도한 방역 피해야


0
글자크기 설정
최대 작게
작게
보통
크게
최대 크게

150723 wildlife2

야생조류 보존과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 대응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놓고 국내외 전문가들이 의견을 교류했다.

야생조류 보존을 위협하는 과도한 방역조치를 지양하되 해외 AI 바이러스의 국내 유입 가능성에 대비한 예찰검사 확대 및 가금농가 차단방역책 마련이 주요 화두로 올랐다.

국립생태원(원장 최재천)은 7월 23일과 24일 양일간 충남 서천 국립생태원에서 ‘야생조류의 HPAI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에는 세계동물보건기구(OIE)의 조류인플루엔자 국제표준실험실인 독일 프리드리히-뢰플러 연구소의 팀 하더(Timm Harder) 대표를 비롯해 미국 국립야생동물보건센터 혼 입(Hon Ip) 교수, 중국과학원 더그 왓킨스(Doug Watkins) 교수, 동아시아대양주 철새 이동경로 파트너십(EAAFP)의 주디 자보(Judit Szabo) 연구관, 일본 환경선 자연보전국 야스코 네아가리 연구관 등 각국의 전문가들이 연자로 초청됐다.

국내에서도 환경부 생물다양성과를 비롯한 야생조류 관련 환경부처와 농림축산검역본부, 수의학계, 전국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 등에서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150723 wildlife5
고병원성 AI 관련 다양한 철새 이동경로 연구결과를 소개한 더그 왓킨스 교수

철새도래지 소독약 살포는 잘못..가금-철새 분리에 집중해야

모인필 충북대 수의대 교수와 이항 서울대 수의대 교수를 좌장으로 진행된 이번 심포지엄에서 해외초청연자들은 각국의 야생조류 관련 고병원성 AI 발생현황과 연구결과를 국내 관계자에게 소개하고 토론을 진행했다.

이들은 야생 철새가 해외로부터 AI 바이러스를 가지고 올 수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면서도 철새나 철새도래지에 대한 과도한 방역조치는 불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지난해 H5N8형 고병원성 AI 발생초기 철새도래지에 소독약을 살포한 것은 잘못이라고 꼬집었다.

주디 사보 연구관은 “철새도래지에 막무가내로 소독약을 살포하는 것은 효과도 없고 야생동물을 보호해야 할 지역을 오염시키는 부작용만 낳는다”며 “도래지를 위협하면 철새의 이동을 촉발해 오히려 전파위험이 커질 수 있고, 이미 개체수 저하 위협을 받고 있는 야생조류 보존에도 악영향을 끼친다”고 말했다.

때문에 철새 자체보다는 오히려 야생조류와 농장의 가금을 분리하는 차단방역에 더욱 집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를 위해서는 야생조류와 가금 사이에 바이러스를 주고 받는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팀 하더 박사는 “야생조류로부터 가금으로의 바이러스전파도 가능하고 반대로 가금에서 야생조류로 바이러스가 전이될 수도 있다”며 “가능한 전파경로를 자세히 연구해야 어느 방향으로의 전파도 모두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농림-환경부서간 및 국가간 HPAI 연구대응 협력

야생조류의 AI 현황 및 전파경로 연구에 대한 상호협력의 중요성도 수 차례 강조됐다. 국가 내부적으로는 환경부서와 농림축산부서의 협력, 외부적으로는 철새 이동경로에 위치한 여러 나라 간의 협력이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더그 왓킨스 교수는 “철새의 이동경로를 추적하고 계통유전학적으로 AI 바이러스 진화양상을 살피는데 각국이 협력해야 한다”며 “월동지와 번식지, 중간기착지들이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에 혼재되어 있는 만큼 이들 국가기관과 연구자들 간의 협력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150723 wildlife3

환경부는 올해 하반기 야생조류 AI 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실무매뉴얼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항 서울대 수의대 교수는 “단기적으로 먹거리자원을 지키는 농림축산분야와 미래의 생물다양성 자원을 지키는 환경분야가 서로 입장을 고민하며 AI 대응의 합의점을 찾아가야 한다”고 주문했다.

`야생조류 보존과 고병원성 AI 대응을 함께` HPAI 심포지엄 개최

Loading...
파일 업로드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