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돼지열병,중국에서 93건 발생하는 동안 국내 발생 `0건`

해외 유입원인을 선제적 차단 및 농장단위에서 2단계 차단방역 효과


0
글자크기 설정
최대 작게
작게
보통
크게
최대 크게

중국에서 올해 8월 3일 처음 확인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은 현재까지 19개성 4개 직할시에서 총 93건 발생했다. 중국 전역으로 확산하는 분위기라 당분간 발생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인접한 중국에서 ASF가 발생하며, 국내에서도 곧 발생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았지만, 다행스럽게 아직 ASF의 국내 발생은 없었다.

농식품부는 이를 <해외로부터 유입원인을 선제적으로 차단, 농장 단위에서 2단계 차단방역>의 효과로 분석했다. 또한, 앞으로도 ASF의 철저한 차단방역을 통해 ‘비발생국’을 계속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11월 말까지 중국 내 ASF 확산 현황
11월 말까지 중국 내 ASF 확산 현황

ASF가 중국에서 광범위하게 전파된 원인은 감염된 돼지의 혈액을 원료로 사용한 사료의 공급, 감염된 돼지의 불법 유통, 감염 돼지 도축 후 가공장에 판매, 도축검사부실, 생돈의 장거리 운송, 운송차량의 소독 등 방역관리부실 등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농가의 조기발견 신고 미흡, 사람 등 잦은 왕래, 남은 음식물 급여, 다수의 영세농가(2,600만호) 등으로 방역체계 부실과 농가의 방역의식 부족 등도 지속 발생에 영향을 미쳤다.

아직까지 국내 발생이 없지만, 중국에서 ASF가 계속 퍼지고 있고 중국에서 불법으로 국내에 반입된 휴대 돈육가공품에서 ASF 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되는 사례를 봤을 때 여전히 ASF의 국내유입 가능성은 큰 상황이다.

* 중국산 휴대축산물 ASF 바이러스 유전자 검출사례 : 한국 4건, 일본 3, 대만 5, 태국 1

농식품부는 “해외에서 ASF 유입 예방을 위하여 여행객의 불법 휴대축산물과 해외여행 축산관계자 등 위험요인을 선제적으로 통제 관리하고, 농장에서 남은 음식물 급여와 야생멧돼지 등 방역 관리를 통하여 ASF 발생을 사전 차단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중국으로부터 불법 휴대축산물 반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중국 운항 선박·항공기 노선에 검역탐지견 집중 투입과 휴대수화물에 대한 X-ray 검사를 확대하고, 출입국장에 배너 설치와 리플릿 배포 등 홍보를 하고 있다.

검역탐지견 중국 노선 투입의 경우, (평시)162편/주 → (11.6) 205/주로 평시대비 27% 증가했다.

제주(선양 4편, 대련 7편), 김해(선양 7편), 대구(선양 2편)공항은 8월 3일부터 검역탐지견 100% 투입, 탐지견이 배치되지 않은 청주공항과 인천항은 X-ray 전수검사를 시행 중이다.

여기에, 평택 등 항만은 여행객(보따리상 포함) 위탁수하물과 휴대가방 전수 X-ray 검사도 진행하고 있다.

이외에도 정부는 중국을 포함한 ASF 발생국을 여행하는 축산관계자에 대한 방역관리와 축산농장 등 관련 산업에 종사하는 외국인 근로자에 대하여 국내 입국 시에 방역교육을 하고 있다.

국내 방역도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국내 양돈 농가 중 남은 음식물 급여 농가(281 농가)에 대한 농가별 담당관 지정·관리와 전체 농가 ASF 검사를 올해 12월까지 실시하며, 사육돼지와 야생멧돼지 모니터링 검사, 농가 차단방역에 대한 교육·홍보 등을 실시하고 있다.

12월 15일 현재 사육돼지(2,408두), 야생멧돼지(농식품부 1,250두)를 대상으로 ‘ASF 검사’를 시행했고, 가축방역관·양돈수의사 등 13,892명을 대상으로 차단방역 교육이 진행됐다.

농식품부는 “ASF 국내유입 위험요인 관리와 농가차단 방역 등 사전 예방대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면서, 제주공항 검역강화, 외국인 근로자 관리 강화, 중국산 사료관리, 야생멧돼지 예찰확대 등 ASF 유입 차단대책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아프리카돼지열병,중국에서 93건 발생하는 동안 국내 발생 `0건`

Loading...
파일 업로드 중 ...